구의역 스크린도어를 고치다 숨진 청년 김군의 사망 7주기를 맞은 22일 노동단체가 추모주간을 선포하고 정부에 ‘위험의 외주화’를 개선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조와 서울교통공사 노조 등은 이날 오전 구의역 2층 개찰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7년 전 구의역 사고를 통해 ‘위험’ ‘비정규직’ ‘외주화’ ‘청년’의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드러났지만, 아직도 곳곳에는 위험을 외주화하고 외주화된 위험은 더 큰 위험으로 반복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특히 윤석열정부와 오세훈 서울시장이 노동자와 시민의 안전보다 비용만 우선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영애 공공운수노조 노동안전보건위원장은 “지난해 신당역 살인사건과 10·29 이태원 참사는 윤석열정부와 서울시의 공공기관 안전 인력 감축으로 상시적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발생한 사고”라고 지적했다.
이어 “합법 노조 활동도 불법으로 몰아붙여 결국 노동자가 죽음으로 항변하게 하는 폭력적인 정권에 맞서 우리는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임선재 서울교통공사노조 PSD지회 지회장도 “고용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에만 128명의 노동자가 산업재해로 사망했다”며 “여전히 대한민국은 곳곳이 구의역”이라고 말했다.
이어 “안전 대책을 마련할 비용보다 벌금이 싸고 노동자의 목숨보다 처벌이 가벼운 한 구의역 김군과 같은 죽음은 반복될 수밖에 없다”며 “다시 퇴행하고 있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원청의 책임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시행되어야 노동자들의 안전을 지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기자회견 직후 김군이 사망한 9-4 승강장 스크린도어에 ‘추모의벽’을 설치하고 헌화했다. 추모의벽은 오는 29일까지 유지될 예정이다.
김승연 기자 ki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