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현장 시찰단이 21일 출국했다. 단장을 맡은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장은 과학적 근거와 기준으로 안전성이 담보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유 단장은 이날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국민을 안심시키는 것도 저희 역할”이라며 “과학적 접근을 통해 우리가 본 것이 뭔지, 추가 확인할 게 뭔지 충분히 설명하면 국민도 많이 신뢰하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유 단장을 비롯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전문가 19명,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전문가 1명 등 총 21명으로 시찰단을 구성했다.
유 단장은 이번 시찰단 구성과 관련, “방사선 분야, 원전 각 설비 부문별로 10년, 20년 이상 현장에서 안전 규제를 해오신 분들이다. 현장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아는 분들”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2021년 8월부터 일본의 오염수 방류 계획에 대해 분야별로 안전 관련 부분을 점검하고 확인해온 분들”이라며 “일본의 계획이 적정한지에 대한 전체적인 검증 과정 중 하나로 현장에서 확인할 부분을 확인하고 점검하고 오겠다”고 말했다.
그는 “분야별 최고의 전문가이자 실무진으로 (시찰단을 구성한 만큼) 그 어디에도 경도되지 않고 과학적인 근거와 기준을 갖고 안전성을 계속 확인해나갈 것”이라며 “철저히 준비한 만큼 꼼꼼하고 철저하게 점검하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시찰단은 오는 22∼25일 나흘 동안 오염수 정화 및 처리 과정 등을 점검하고 26일 귀국한다. 22일 일본 도쿄전력 관계자와의 회의를 시작으로 첫 현장 방문인 23일 오염수가 저장된 탱크를 살펴본다. 24일에는 오염수를 분석하는 화학 분석동을 방문하고 마지막 날인 25일에는 일본 측과 기술 회의를 거쳐 추가 자료를 요청할 계획이다.
유 단장은 “오염수 발생부터 방류 지점까지 전반적으로 볼 계획”이라며 “안전성 평가의 완결성을 위해 필요한 경우 민간 전문가 의견도 충분히 듣겠다”고 덧붙였다.
유 단장은 기존의 국제원자력기구(IAEA) 검증과 관련해선 “IAEA 검증팀에는 우리 전문가 한 분도 직접 참여하고 있다”며 “시료 채취 검증 프로그램에도 참여해 원자력안전기술원이 시료 3가지를 갖고 있고, 우리가 최인접국이기 때문에 저희 나름의 별도 검토 과정을 거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그런 검토 과정 중에 시찰을 거쳐 현장을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고 이해하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