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전 대통령이 제4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했다.
문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김정숙 여사와 함께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방문해 문재학 열사 등 오월 영령을 추모했다.
참배단 앞에 선 문 전 대통령은 시종일관 입을 굳게 다문 엄숙한 표정으로 헌화, 묵념하며 희생자들의 넋을 기렸다.
그는 참배를 하기 전 방명록에는 ‘5·18 민주정신이 언제나 우리 곁에 있습니다’라고 적었다.
공식 참배를 마친 문 전 대통령은 고등학생 시민군으로 활동하다 숨진 고(故) 문재학 열사의 묘소를 찾았다. 문 열사는 광주상고 1학년에 다니던 중 전남도청을 사수하다 계엄군의 총탄에 숨진 희생자다.
이어 별도의 공간에 마련된 국립묘지 2묘역과 민주열사들이 안장된 망월동 민족민주열사묘역을 차례로 방문해 다시 한번 분향하며 고개를 숙였다.
문 전 대통령은 참배를 마친 뒤 취재진에게 “대한민국 민주주의는 5·18 민주항쟁에 크게 빚졌다”며 “전 국민이 오늘날 민주주의를 이렇게 누리는 것도 5·18 항쟁의 헌신과 희생 덕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5·18 기념일을 앞두고 퇴임해 참배하지 못해 아쉬움이 남았는데 오늘 참배하게 돼 뜻깊게 생각한다”며 “우리 국민이 다 함께 5·18 민주항쟁의 의미를 새기며 민주주의를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필요성도 역설했다. 문 전 대통령은 “제가 재임 중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담는 개정안을 제출했는데 국회에서 제대로 심의가 되지 않아 국민투표까지 가지 못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우리 정치권이 같이 노력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전 대통령은 5·18 단체 등과 오찬을 가진 뒤 광주 비엔날레를 관람하고 돌아갈 예정이다.
지금까지 퇴임 이후 5·18 민주 묘지를 참배한 전직 대통령은 고(故)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에 이어 문 전 대통령까지 세 명이다.
이강민 기자 riv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