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가 한·미 동맹을 유지하기 위해 1950년대 이후 수많은 여성에게 주한미군 성매매를 강제, 장려했다고 중국 신화통신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이 개최된 데 이어 다가올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도 한·미·일 3국 정상회담이 예고되는 등 전략동맹 움직임이 강화되자 견제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신화통신은 ‘미국 동맹의 대가: 한국 여성 희생양’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미군을 상대로 성매매에 종사한 한국 여성들의 아픈 역사를 조명한 뉴욕타임스(NYT)의 지난 2일 기사를 언급하며 이같은 주장을 펼쳤다.
이 매체는 “당시 주한미군기지 주변에는 미군을 접대하는 클럽이 많이 생겨났고 이른바 ‘기지촌’이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시 한국 언론은 기지촌 여성들을 비판하면서도 ‘돈 버는 주역’이라고 칭찬했다”며 “한국 정부는 한때 한국 사회가 기지촌 강제 성매매 문제를 거론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피해 여성은 미국에 소송을 제기할 계획이지만 전망은 불투명하다”고 덧붙였다.
안김정애 기지촌여성인권연대 공동대표와 인터뷰한 내용도 실었다. 안김 대표는 “한국과 미군국 둘 다 기지촌 형성에 책임이 있다”며 “미국을 향한 한국 정부의 복종은 기지촌 형성의 온상을 제공했다. 많은 한국 여성들의 인권이 유린당했다”고 신화통신에 말했다.
그는 “피해 여성들이 자신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길은 멀고 험난했다. 또 상상할 수 없는 저항과 차별에 직면했다”며 “기지촌 성 착취 문제는 한·미 동맹에서 불평등한 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