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학교(대구 북구)는 교육부의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 지정·운영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이 사업은 교육부가 반도체 교육·기초연구에 대한 핵심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반도체 인프라를 갖춘 비수도권 대학에 반도체공동연구소를 건립하는 것이 핵심이다. 지역과 연계한 반도체 교육·연구를 추진하고 반도체 인력양성의 거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 구축과 장비·기자재 확충을 지원한다.
대구·경북·강원권, 충청권, 호남·제주권, 동남권으로 나눠 진행하며 경북대는 대구·경북·강원권을 아우르게 됐다. 수도권은 서울대에 이미 관련 시설이 있다. 경북대가 지원한 분야는 공정 특화 분야(리소·증착·식각공정)와 응용 특화 분야(전력반도체)다. 특화 분야는 이후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협의체에서 조정될 수 있다. 경북대는 반도체공동연구소 시설·인프라 구축비용으로 164억원을 지원받는다.
경북대는 교내 반도체융합기술연구원을 대구·경북·강원권 반도체공동연구소로 확장·증축할 계획이다. 개방형 서비스를 확대해 제공하고 외부사용자의 공정장비 직접사용 지원과 비용 할인을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경북대는 대구시 대응자금 16억원과 함께 중견 반도체 기업들로부터 대규모 공정·특정장비의 현물지원(380억원)을 약속받기도 했다.
경북대는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와 연계해 공정 서비스 연결망과 협업 체계를 구축하고 지역의 균등한 반도체 교육·협업 기회를 확보할 계획이다.
홍원화 경북대 총장은 “경북대가 보유하고 있는 국내 최고 수준의 반도체 교육·연구 인프라와 교수진을 적극 활용할 것”이라며 “권역의 반도체 인력양성 거점으로서 반도체 교육과 연구를 주도적으로 이끌겠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