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일 용인특례시장 ‘돋보인다’…왜?

입력 2023-05-15 12:55

이상일 경기도 용인특례시장이 지난해 취임 이후 해묵은 과제들을 연달아 해결할 뿐 아니라 돌파구가 없어 보였던 난제들을 척척 해결하며 존재감에서 단연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치밀한 전략을 세우고 중앙정부 등 각 기관과 연결되는 인적 네트워크를 총동원해 부지런히 뛰어다니며 적극행정을 펼친 결과라는 분석이다.

이 시장은 취임 이튿날인 지난해 7월 2일 신상진 성남시장과 성남분당갑 지역의 안철수 국회의원을 만나 고기동과 성남 대장동 연결 다리인 고기교 확장 문제를 함께 해결하기로 했다. 용인과 성남의 상생과 협치에 경기도까지 가세해 이 시장 취임 3개월 만인 9월 26일, 고기교 확장과 주변 도로 확충 등을 위한 공동협력 방안을 담은 협약이 체결됐다. 10년 가까이 해법을 찾지 못했던 문제가 같은 국민의힘 소속으로 호형호제하는 사이인 두 지자체장의 의기투합으로 해결된 것이다.

기흥구 보정·마북동 일원 83만여 평에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 첨단산업 연구시설, 교통 허브와 주거시설이 들어서게 될 경기용인 플랫폼시티는 개발이익금을 온전히 사업 지역을 중심으로 한 용인에 재투자 되도록 관철시켰다. 마침내 기본협약서는 지난달 말 용인시의회와 경기도의회가 승인하면서 효력이 발생했다.

이 시장은 취임 이후 줄곧 “실패하거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면 사업 내용을 냉철하게 분석해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시 공직자들을 독려했다.

대표적으로 이 시장과 도시재생 분야 공직자들은 전통시장과 주변을 신·구세대가 어우러지는 지역으로 만들기 위해 청년창업과 문화활동 공간을 만들고 주차시설도 확충하는 등 다양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세워 국토교통부의 호응을 이끌어 냈다. 국토부는 지난해 12월 용인 중앙시장과 주변 20만467㎡를 지역특화·스마트 재생사업지로 결정해 국비 155억원, 도비 31억원을 지원받는다. 시는 오는 2026년까지 4년간 국·도비를 포함해 모두 652억5000만원을 투입해 중앙시장 일대를 변모시킬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이 시장은 시 공무원조차도 깜짝 놀랄 정도의 노력으로 이동·남사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유치를 성사시켰다. 이로 인해 숙원 사업인 경강선 연장 사업의 가능성이 한결 높아졌다.

경강선 연장은 용인 이동·남사 국가산단을 중심으로 SK 하이닉스의 이천과 용인 원삼에 공사가 진행 중인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삼성전자의 기흥 캠퍼스와 화성·평택 캠퍼스를 잇는 반도체 메가클러스터에도 꼭 필요하다는 게 용인시의 설명이다.

용인시는 경강선을 광주 삼동역에서 분기해서 용인 모현~이동~남사까지 40.2km 구간을 잇고, 다시 진천·청주까지 연결되는 수도권 내륙선(동탄역~진천~청주공항)과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시는 반도체 산업 초격자 유지를 위해서라도 경강선 연장을 제5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반영시키겠다는 각오다.

이 시장은 시 공직자들에게 습관적으로 “필요하면 언제든 얘기하세요, 제가 직접 중앙정부 인사들은 만나거나 전화로 연락하겠다”고 말한다. 그냥 던지는 말이 아니라 진심이다.

이 시장은 틈나는 대로 중앙정부 인사들을 만난다. 24년간의 중앙일보 정치부 기자 생활과 국회의원·대학교수 시절 쌓아 둔 인맥을 용인 발전을 위해 충분히 활용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이 시장은 지난해 10월 윤석열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대통령의 GTX 노선 확대와 확충 공약을 이행하기 위해서라도 행정의 유연성을 발휘해 2026년 7월로 예정된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수립 시기를 1년 이상 앞당겨야 한다고 건의했다. 그러면서 대통령 임기가 1년도 남지 않는 시점인 2026년 7월에 계획을 세우면 경강선 연장, 지하철 3호선 연장 등 대통령 공약을 순조롭게 추진하기 어렵다는 논리를 내세웠다.

“문제를 쌓아 놓고 방치하지 말고, 궁리하고 방법을 찾으면서 하나둘씩 해결하고 매듭짓는 적극적이고 창조적인 행정을 하자”는 이 시장이 취임 초부터 지금까지 일관되게 강조해 온 말이다.

용인=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