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죽게 생겨” 김남국 성토…“이재명 사퇴해야” 요구도

입력 2023-05-15 04:37 수정 2023-05-15 10:05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4일 국회에서 열린 당 의원총회에서 인사말을 위해 연단으로 가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14일 당 쇄신안을 도출하고자 연 의원총회에서 김남국 의원의 ‘거액 코인 보유 논란’과 전당대회 돈봉투 사건에 대한 성토가 이어지는 한편 이재명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 재신임 요구가 터져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15일 정치권에 따르면 비명(비이재명)계 의원들은 전날 쇄신 의총에서 이 대표 지도부의 늑장 대응에 대한 비판과 함께 이 대표 책임론을 거론했다. 특히 설훈 의원은 “이 대표가 당대표직을 내려놓아야 한다”며 사퇴까지 언급했다고 한다. 그간 잠잠하던 계파 갈등의 재점화 우려가 제기된다.

비명계 한 중진의원은 이날 의총 이후 “이 대표가 이 자리에 있어서 문제 해결이 안 된다. 다들 빙빙 딴 얘기만 하는데 문제의 본질은 이 대표가 결단하는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왔다”며 “이 대표가 결단해야 이런 문제에 대한 단호한 처리도 가능하고, 국민들의 불신도 해결할 수 있다고 했다”고 뉴시스에 전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4일 국회에서 열린 당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어 “‘(당대표) 사퇴하고 이제 개딸들하고 분리해라’ ‘재명이네 마을 이장도 사퇴해라’ ‘거기서 김남국 의원을 지키자 이러고 앉아 있는데 거기에서 한마디 안 하고 이장을 계속하는 게 맞냐, 그렇게 따라갈 거냐’라는 목소리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이 의원은 쇄신 의총 이후 발표한 결의문에 대해서도 “초안에 뭐가 들어가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너무 두루뭉술하게 나왔다”며 “의원들이 오랫동안 논쟁했는데, 의원총회 때 나온 이야기들하고 결의문 내용하고 완전히 안 맞는다. 이렇게 가서는 민심이 떠나간다. 지도부가 책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전수조사, 자진신고 다 그런 구체적인 내용이 사라졌다”며 “윤리위 제소도 많은 의원들이 얘기했는데 빠졌다. 초안엔 들어가 있었는데 이 대표와 협의하는 과정에서 빠졌다는 이야기도 들린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4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김남국 의원 탈당 등 최근 당 문제에 대해 사과하고 있다. 연합뉴스

의총 공개 여부를 놓고 시작 전부터 친명계와 비명계가 맞붙기도 했다. 신동근 의원은 “혼란스러워도 국민들께서 우리 당이 어떻게 대처하는지, 얼마나 쇄신하는지에 대해 공개하는 게 좋다. 우리가 숨길 이유가 있냐”며 공개 의총을 주장했다. 설훈 의원 역시 “의총은 공개가 원칙”이라며 “우린 국민의 대표지, 개인 개인이 아니다”라고 했다. 그러나 의총은 결국 비공개로 진행됐다.

의총 이후 친명계는 지도부 재신임안에 대한 불쾌감을 표했다. 이 대표의 비서실장을 맡고 있는 천준호 의원은 이날 의총 이후 ‘대표 재신임 의견이 나왔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의원들 동의가 전혀 없었다”고 일축했다. 양이원영 의원은 페이스북에 “이 대표가 재신임받아야 한다고요? 본색을 드러내시는군요”라며 “그동안 무슨 일을 하셨다고 그런 말씀을 하시는지. 오히려 본인이 당원들에게 재신임받아야 하는 상황 아닌가요”라고 주장했다.

14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의원총회에서 일부 의원들이 회의 전체공개를 요구하고 있다. 이번 의총은 예정대로 지도부 발언 후 비공개로 진행했다. 연합뉴스

6시간 동안 진행된 의총에서는 김 의원에 대한 성토가 주를 이뤘다. 의총 직후 박광온 원내대표가 발표한 결의문 1항(개별 의원의 탈당으로 당의 책임을 회피하지 않겠다)도 김 의원 관련 내용이었다.

자유토론에서 첫 발언자로 나선 박용진 의원은 의총 도중 기자들과 만나 “지도부에 ‘자세를 고쳐 잡아라, 좌고우면하며 늑장대응하는 바람에 민주당이 다 죽게 생겼다’고 말했다”며 “당대표가 쇄신의 칼을 들고 휘둘러야 한다고 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의 탈당이 무책임하다고도 했다”면서 “김 의원에 대한 당내 조사도 계속하고, (여당과 마찬가지로) 민주당도 국회 윤리위원회에 김 의원을 즉각 제소하자고 주장했다”고 덧붙였다.

박 원내대표는 의총 후 기자들과 만나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 징계를 하겠다, 본인(김 의원) 동의를 얻어 최대한 조사를 더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김 의원이 이미 탈당한 상황이어서 조사에 협조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박 원내대표는 “재창당의 각오로 근본적 반성과 본격적 쇄신에 나설 것을 국민께 약속드린다”며 “쇄신 결과로 온전히 국민께 평가받겠다”고 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