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포스트(WP)는 12일(현지시간) 한국에 500개의 ‘노키드’ 구역이 존재한다고 보도했다. 어린이들의 출입이 금지되는 술집과 클럽 등은 제외한 수치다.
WP는 “어린이 출입 금지는 비단 한국에 국한되는 문제는 아니다” 며 “한국을 비롯해 영국, 캐나다, 독일 등에서도 이미 이 문제로 논란이 일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도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항공, 인도의 인디고 항공 등 일부 항공사는 영유아와 떨어진 좌석을 고를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한다. 일부 도서관과 박물관 역시 일정 연령부터 출입을 허가한다. WP는 이런 몇몇 시설들의 조치가 차별과 권리 사이의 미묘한 논란을 야기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노키드 구역에 찬성하는 사람들은 사업주가 스스로 업장 분위기 및 운영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이러한 사업주의 결정은 결과적으로 어린이를 배제하고 공공시설에 머물 수 있는 근본적 권리를 부정하는 것이라는 반대 의견도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저출산 시대가 도래한 지금, 이 문제는 신중히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아이를 낳는 것이 당연한 순리로 여겨지던 과거와 달리 선택의 문제로 여겨지는 현실을 고려하면, 노키드 문화 확산이 출산을 선택하지 않을 또 다른 근거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WP는 “세계 최저 출산율을 보이고 있는 한국에서 이는 특히 중요한 문제”라며 “공공장소에서 어린이 출입을 제한하는 것은 육아에 대한 어려움을 강조하고, 아이를 갖는 것을 한층 꺼리게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