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증권이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을 기록했음에도 주요 증권사에서는 목표가를 하향하는 보고서가 발간됐다.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폭락 사태로 차액결제거래(CFD)관련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10일 임희연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키움증권의 목표가를 13만5000원에서 12만원으로 11.1% 하향했다.
임 연구원은 “키움증권의 경우 리테일 약정 시장점유율 30%, 신용융자 점유율 15.7%로 국내 1위 사업자”라며 “여타 증권사보다 익스포져와 손실 규모가 클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또 연내 초대형 투자은행(IB) 인가 신청을 예상하고 있었으나, 보류되면서 자본 효율성 저하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그는 “최근 업종 전반적으로 CFD발 손실 우려가 불거지고 있다”며 “미수채권증가 시 충당금 적립이 불가피하다. 또 CFD 신규 가입 중단 및 향후 금융위원회의 CFD 제도 개선 등으로 향후 관련 손익이 위축될 공산도 크다”고 말했다.
삼성증권도 이날 보고서를 통해 키움증권의 목표가를 8.8% 내린 12만5000원으로 제시했다. 정민기 삼성증권 연구원은 “(CFD 관련) 미수채권 발생 및 일부 충당금 전입 영향이 불가피하다”며 “정확한 손실 규모의 측정에는 무리가 있지만, 2분기 실적 추정의 불확실성을 반영해 목표가를 조정한다”고 말했다.
키움증권은 전날 공시를 통해 올해 연결기준 1분기 영업이익이 388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2.39%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광수 기자 g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