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월 경매에 오른 서울 아파트 10채 중 8채가 낙찰에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법원경매 정보업체 지지옥션 집계를 보면 지난달 경매를 진행한 서울 아파트 126건 중 낙찰에 성공한 물건이 19.0%인 24건에 그쳤다.
서울 아파트 낙찰률은 지난해 12월 17.9%에서 올해 1월 44.0%로 올랐다가 2월 36.1%, 3월 33.1%에 이어 지난달 다시 10%대로 내려갔다. 감정가 대비 낙찰가 수준인 낙찰가율은 3월 79.0%에서 4월 76.5%로 2.5%포인트 낮아졌다.
경매에 나온 서울 아파트 대부분이 특례보금자리론을 받지 못하는 고가 아파트인 탓에 관망세가 유지된 것으로 분석된다.
4월 평균 응찰자 수는 7.9명으로 전월 5.4명보다 2.5명 늘었다. 규제지역 내 초고가 아파트에 대한 대출 규제가 완화되면서 강남권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경기 아파트 낙찰률은 41.2%로 전월보다 10.9%포인트 올랐지만 인천은 20.4%로 7.2%포인트 하락했다.
전국 아파트 낙찰률은 39.7%로 같은 기간 10.5%포인트 상승했다. 4월 낙찰가율은 75.0%로 전월(75.1%)과 비슷했다. 평균 응찰자 수는 7.5명에서 7.9명으로 0.4명 늘었다.
지지옥션은 “정부의 전방위적 부동산 규제 완화가 이뤄지자 저가 매수세가 들어오면서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이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