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10일 거액의 가상자산 보유 논란에 휩싸인 김남국 의원에게 보유 중인 가상자산 매각을 권유하기로 했다. 또 가상자산 보유 과정에 문제가 있는지를 규명할 자체 조사팀을 꾸려 진상조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권칠승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대구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당 지도부가 이런 방침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권 수석대변인은 “(김 의원에게) 보유 중인 가상자산을 매각하라고 권유하기로 했다”며 “본인도 당 방침을 따라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신속·투명한 진상조사도 하기로 했다”며 “조사팀은 (김병기) 수석 사무부총장이 팀장을 맡아 구상 중”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코인 관련 분야는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과정과 내용이 많아 필요할 경우 그 부분을 충실히 해설하고 사실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전문 지식을 가진 분들도 합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민주당은 이번 코인 보유 논란이 김 의원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새로운 의혹으로 이어지자 칼을 빼든 것으로 보인다. 김 의원 논란은 ‘2021년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과 더불어 지도부의 미온적인 대처를 지적하는 당 안팎의 목소리가 많았다.
권 수석대변인은 “그제까지는 법적인 문제, 재산 신고 관련 부분 등이 어느 정도 해명이 됐다고 봤지만 이틀 전부터 (가상자산을) 언제 샀는지, 사고파는 시점이 최고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내부 정보를 이용한 게 아닌지 등 새로운 의혹이 제기됐다”며 “그런 내용을 샅샅이 들여다보고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비전문가가 자료만 보고 판단하기는 어렵다는 인식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돈봉투 의혹’과 달리 김 의원 사안에 대해 자체 조사팀을 꾸리는 이유에 관해선 “돈봉투 건은 (조사 범위를) 특정할 수 없고, 검찰 수사와 직결된 부분이 있어 핵심적인 조사 대상자인 이정근, 강래구를 조사할 수 없는 상태였다”며 “김 의원 건은 단건이고 한 사람 관련 내용이라 명확하다”고 밝혔다.
윤리감찰단이 아닌 별도의 조사팀을 가동하는 데 대해선 “윤리감찰단은 태생적으로 비위 사실을 조사하게 되는데, 이 건은 복잡한 사실관계를 확인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며 “별도의 분석이 필요하니 그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겠다는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권 수석대변인은 당 일각에서 가상자산 보유와 관련한 의원 전수조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데 대해 “지금은 김 의원 건에 국한해 조사할 것”이라며 “다수의 의원이 (전수조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표명했으니 지도부도 적절히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이번 조치와 별도로 가상자산을 공직자 재산 신고에 포함하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을 추진키로 했다.
이동환 기자, 대구=박장군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