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경기방송 재허가 과정에서 불거진 의혹과 관련해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와 경기도 수원시청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서울북부지검 형사5부(박경섭 부장검사)는 10일 오전 정부과천종합청사 내 방통위와 수원시청으로 검사와 수사관들을 보내 4년 전 경기방송 재허가 심사 관련 업무기록을 확보하고 있다. 또 경기방송의 2020년 폐국 이후 수원시가 방송국 부지를 ‘근린생활시설’에서 ‘방송통신시설’로 용도변경하는 과정의 적정성을 들여다볼 계획으로 전해졌다.
경기방송은 1997년 개국한 민영 라디오 방송이다. 2020년 3월 폐국했다. 이에 앞서 2019년 방통위로부터 지역 청취자 청취권 보호가 필요하다는 등의 이유로 유효기간 4년의 조건부 재허가 승인을 받았다. 이를 놓고 2019년 1월 문재인 당시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에서 경기방송 기자였던 김예령씨의 질문 태도가 영향을 미쳤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당시 김씨는 문 대통령에게 경제 현안을 질문하면서 “자신감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인지, 그 근거는 무엇인지 단도직입적으로 여쭙겠다”라고 말했다. 이로 인해 당시 여권 지지층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김씨는 2020년 경기방송에서 퇴사하면서 자신의 페이스북에 “지난해(2019년) 1월 신년 기자회견에서 대통령을 향한 질문이 경기방송의 재허가권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돼 결단이 필요했다”고 주장했다. 김씨는 그해 국민의힘의 전신인 미래통합당에 입당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