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10명 중 6명 이상이 회식문화가 줄어든 것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민들은 대부분 이같은 상태가 유지되거나 더 줄어들길 바랐다. 선호하는 야간 활동 정책으로는 문화예술과 사회교류, 관광 등을 꼽았다.
서울시는 9일 시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서울시 야간활동 활성화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시민 중 64.4%는 코로나19 이전 야간활동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회식문화가 코로나19를 거치며 감소했다고 답했다. 감소 이유로는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한 집합금지’라는 응답이 52.9%로 가장 높았다.
회식문화가 줄어들면서 다른 야간활동이 증가했는지를 묻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고 답변한 비율이 37.6%였다. 증가했다는 답변은 29.6%였지만, 이들 대부분 기존 회식 시간을 취미(44%)나 휴식 시간(41.8%)으로 활용했다.
시민 다수는 코로나19 종식 이후 유흥활동 및 회식문화 변화에 대해 더 줄어들길 희망(39.7%)하거나 현재 수준을 유지했으면 좋겠다(36.2%)고 답했다. 회식 등이 증가하길 바라는 비율은 24.1%에 불과했다.
서울시민 중 81.7%는 서울시를 야간활동 하기 좋은 도시로 평가했다. 야간활동 활성화 정책이 필요하다(68.9%)는 비중도 높았다. 활성화 정책이 필요한 이유로는 다양한 시민문화 향유 기회 확대(37.2%), 침체된 경제 활성화(29.9%), 건전한 야간문화 조성(27.7%) 등이 꼽혔다.
시민들이 선호하는 야간활동 분야는 문화예술(24.8%)·사회·교류(21.9%)·관광(18.1%) 순이었다. 실내·외 스포츠 등 여가·문화 활동을 선호하는 비율도 16.5%였다. 야간활동 활성화 정책 수립 시 가장 기대하는 사항은 ‘야간 교통수단 이용 편의 제고’가 22.9%로 가장 높았다.
최경주 시 문화본부장은 “이번 조사는 서울시 최초로 서울시민의 ‘야간활동’을 여러 측면으로 살펴본 결과로 그 의미가 크다”며 “세계 여러 도시들이 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야간문화활동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서울시도 촘촘한 정책설계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