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들의 식당 및 시설 출입을 금지하는 ‘노키즈존’(No Kids Zone)에 이어 ‘노시니어존’(No Senior Zone·노인 출입 금지) 카페가 등장해 온라인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카페 직원에게 함부로 말을 하는 등 일부 무례한 손님을 막으려는 조치라는 의견과 60세 이상은 사람으로 보지도 않는 비상식적인 시각이라는 의견이 부딪히면서 찬반이 갈리고 있다.
어버이날인 지난 8일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노시니어존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와 많은 관심을 끌었다. 해당 글에는 노시니어존 단어가 붙어 있는 카페 유리문 사진이 함께 게재됐다. 사진을 보면 노시니어존 단어 밑에는 ‘60세 이상 어르신 출입제한’이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문구 왼쪽에는 ‘안내견을 환영합니다’라는 스티커가 부착돼있다.
해당 글을 올린 글쓴이는 “이곳은 딱히 앉을 곳도 마땅찮은 한 칸짜리 커피숍, 한적한 주택가에 있다”면서 “무슨 사정인지 몰라도 부모님이 지나가다 보실까 무섭다”고 적었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노인 혐오를 조장한다며 카페의 출입제한 공지가 부적절하다는 의견을 냈다. 이들은 “안내견은 환영한다는 문구가 옆에 있어서 노인은 개보다도 못한 존재라는 뜻 같다” “카페 사장도 60세가 넘는 날이 올 텐데 섣부른 결정 같다” “아이 혐오에 이은 노인 혐오다. 한국은 끝없이 혐오를 만든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반면 카페 사장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들은 “1인 1음료 원칙을 지키지 않는 어르신들이 많아서 그런 것 같다” “유독 단체로 와서 다른 손님들에게 피해를 줄 정도로 시끄럽게 떠드는 어르신들을 많이 봤는데 손님 컴플레인에 따른 조치일 수도 있다” “카페 사장이 어르신들을 케어하지 못하는 나름의 사정이 있는 것 아닐까” 등의 댓글을 남겼다.
한편 이렇게 일정 나이 이상의 손님을 거절한다는 식당 및 카페의 사례는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19년 서울 관악구 신림동에 위치한 한 포차는 ‘49세 이상 정중히 거절합니다’라는 문구를 가게 문 앞에 붙여 논란이 일기도 했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