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군위군의 7월 대구시 편입 준비가 한창이다. 대구시와 군위군은 행정구역 변경에 따른 행정공백과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 분야를 점검한다는 방침이다.
군은 농촌지역에서 도시지역으로 행정구역이 변해도 농업·농촌 기능은 그대로 유지된다고 9일 밝혔다.
편입 발표 후 군민들은 농업에 주어지는 혜택이 줄어드는 것 아니냐며 걱정했다. 이에 군은 농사짓는 것이 어려워지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농업·농촌의 기능이 확대된다며 군민들을 안심시키고 있다.
군은 경북도에서 지원받던 농업분야 보조사업 예산을 시로부터 지속적으로 지원받기 위한 법적근거 확보를 위해 시와 함께 ‘대구시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지원에 관한 기본조례안’을 마련했다. 조례안은 7월 공포돼 2024년 1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조례안에는 대내외적으로 경쟁력 있는 업종과 품목 중점 육성지원, 영세·고령농가의 소득보전과 농업인의 복지증진, 친환경농업 육성과 경관보전, 도농간 격차해소와 균형발전 지원, 농촌지역의 고유한 전통·문화 보전, 식품산업의 지원·육성에 관한 내용이 담겨있다.
군은 대구시농산물유통공사 설립을 통한 유통 구조 개선, 농촌관광자원 활용 등 농업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도 시와 함께 마련할 계획이다.
김진열 군위군수는 “편입 후 대도시 근교 농업 육성, 농촌관광 활성화,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등 농업·농촌기능을 확대 육성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시도 편입에 따른 불편 해소를 위해 사전 점검을 진행 중이다. 시는 최근 군위군 편입 준비 실·국별 3차 추진상황 보고회를 열었다. 각 실·국장은 80개 추진과제(38개 중점과제) 진행 상황을 공유했다.
시는 군민이 받고 있던 혜택이 줄지 않도록 조례를 개정할 계획이며 7월 1일부터 칠곡경북대병원역-군위읍, 칠곡경북대병원역-우보면 노선 급행버스를 운영하기로 했다.
시는 6월 실·국 과제별 추진상황을 최종점검할 예정이다. 편입 전 대구·경북·군위 최종 공동협의회를 개최해 그동안의 합의사항을 정리하고 편입 후 화합·협력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할 예정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