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자영업자들의 연체율이 대출 만기 연장·상환 유예 등의 금융 지원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까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은 상호금융·대부업체 등 비은행권의 중·고금리 대출을 크게 늘려왔기 때문에 향후 금융지원 종료 이후 2금융권의 건전성 리스크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8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자영업자 소득 수준별 대출 잔액·연체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현재 전체 자영업자의 전 금융기관 대출 잔액은 1019조8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사상 최대 수준이다. 3분기(1014조2000억원)에 이어 두 분기 연속 1000조원을 넘었을 뿐 아니라, 코로나19 대유행 직전인 2019년 4분기(684조9000억원)에 비해 48.9%나 증가한 수치다.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도 증가세다. 연체율은 지난해 3분기 0.19%에서 4분기 0.26%로 3개월 사이 0.07%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 사태 초기인 2020년 2분기 0.29% 이후 2년 반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소득별로 보면 저소득층(소득 하위 30%)은 지난해 3분기 0.7%에서 4분기 1.2%로 0.5%포인트 높아졌다. 이 역시 코로나19 사태 전인 2019년 4분기(1.3%) 이후 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고소득(소득 상위 30%) 자영업자의 연체율(0.7%)도 2020년 2분기(0.7%) 이후 2년 6개월 내 가장 높은 수준에 이르렀다. 중소득(소득 30∼70%) 자영업자의 연체율(1.3%)은 지난해 1분기(1.1%) 이후 계속 오르고 있지만, 저·고소득층보다는 상대적으로 연체율 상승 속도가 느리다.
대출 증가 폭이 가장 큰 계층도 저소득 자영업자였다. 저소득층의 전 금융기관 대출 잔액은 2019년 4분기 70조8000억원에서 지난해 4분기 119조9000억원으로 69.4% 올랐다. 중소득층(64.7%), 고소득층(42.4%)보다 높은 증가율이다.
특히 저소득 자영업자의 경우 비은행 2금융권 대출 급증 현상이 두드러진다. 3년(2019년 4분기∼2022년 4분기)간 저소득 자영업자의 은행 대출이 45.8%(49조3000억원→71조9000억원) 늘어난 것과 비교해 상호금융 대출은 2.3배(16조1000억원→37조1000억원) 뛰었다. 중소득층(87.8%·32조8000억원→61조6000억원), 고소득층(76.5%·116조8000억원→206조2000억원)보다 증가율이 월등히 높다. 대부업을 포함한 기타 금융기관의 저소득 자영업자 대출액은 같은 기간 1조2000억원에서 2.92배인 3조5000억원까지 치솟았다.
양 의원은 “금융기관의 건전성 관리를 위해서 자영업자의 대출 부실 징후를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적극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