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송이 버섯에서 나온 효소를 활용해 혈당을 낮추는 새로운 물질이 개발됐다.
대구대는 김태훈 교수(식품공학과·사진) 연구팀이 양송이 버섯에서 나온 효소를 활용해 혈당을 낮추는 새로운 물질을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김 교수 연구팀은 최근 ‘효소적 생물전환을 통한 우수한 혈당 강하 신규화합물 개발’(Enzymatic transformation of esculetin as a potent class of a-glucosidase inhibitors)이란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에는 양송이 버섯에서 추출 가능한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활용해 만든 6종의 신규화합물 구조 결정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이번 연구는 6종의 신규 화합물이 혈당 조절에 관여하는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효소를 강력하게 억제하는 효과를 통해 혈당을 낮출 수 있는 신규 물질임을 규명했다.
이번에 개발된 신규 화합물은 상품성이 없어 폐기되는 파지버섯으로도 폴리페놀 산화효소 추출이 가능해 적은 비용으로 화합물의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 효소를 만드는 반응시간 또한 기존의 긴 발효 시간과는 달리 3시간 이내의 빠른 반응을 통해 신속하고 간편하게 효소반응을 완료할 수 있는 것도 큰 장점이다.
현재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6종의 신규화합물은 바이오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해 특허 출원이 완료된 상태다.
김 교수는 “이 신규 물질은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한 혈당 강하 효과는 물론 낮은 제조 비용으로 인해 향후 항당뇨 의약품 개발을 위한 사업화에도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논문은 최근 SCI(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 국제학술지인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온라인판에 실렸다.
이번 연구는 김 교수 연구팀과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경상대가 공동으로 수행했다.
경산=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