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스(NYT)는 7일(현지시간) AL 회원국 외교수장들이 이집트 카이로에서 열린 전체회의에서 시리아의 복귀에 관한 표결을 벌인 결과 22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찬성표를 던졌다고 보도했다.
통상 아랍연맹의 주요 의사 결정은 전체 회원국간 합의에 의해 이뤄지지만, 찬반 의견이 팽팽하거나 특정 사안의 경우 표결에 부쳐질 수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그러나 이번 회의에서 몇몇 회원국은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시리아 반군측을 지지하는 카타르는 알아사드 정권의 AL 복귀에 강하게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문은 “시리아의 아랍연맹 복귀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국가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이라면서 “수니파인 사우디아라비아가 시아파이자 친 시리아 성향인 이란과 외교관계를 복구하고 이를 통해 알아사드 정권의 외교무대 복귀의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했다.
사우디아라비아 매체 아랍뉴스는 이번 합의가 조건부로 성사됐다고 전했다.
시아파 국가인 이라크의 아흐메드 알사흐하프 외교부 대변인은 회의 직후 성명을 내고 “이라크는 아랍의 통합을 위해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왔다”면서 “중동 역내 안보와 안정을 강화하고 수단 사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알아사드 정부의 복귀가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NYT에 따르면 AL 회원국들은 이 결정과 함께 역내 국가에서의 내전, 마약·테러 문제 해결을 위해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결의했다. 또 시리아 내전의 정치적 해결을 위해 사우디아라비아 레바논 요르단 이라크 등이 참여하는 위원회를 구성키로 합의했다.
앞서 사우디는 아랍연맹 정상회담에 알아사드 대통령을 초청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시리아는 2011년 알아사드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는 반정부 시위를 정부가 강경 진압하면서 아랍연맹에서 퇴출당했다. 10년 넘게 이어져온 시리아 내전에서 지금까지 50만명이 숨지고 수백만명의 피란민이 발생했다.
미국과 서방은 알아사드 대통령 일가의 해외 자산 동결과 시리아에 대한 수출입 금지 등 경제 제재를 가했으며, 미국은 2012년 국교를 단절하고 2020년 추가 제재를 발표했다.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은 알아사드 정권이 물러나기 전까지 제재를 해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편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시리아는 아랍연맹에 다시 가입할 자격이 없다”고 밝혀 이번 결정에 대한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않았다.
신창호 선임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