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강남권 아파트 중 30년이 넘은 노후 아파트 단지의 거래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지난 1월 재건축 안전진단 합리화 방안을 발표하는 등 재건축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것이 거래 증가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된다.
부동산R114는 지난해 5월 10일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이달 4일까지 1년간 아파트 건축 연령별 거래 건수를 분석한 결과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 내에서 재건축 연한이 도래한 30년 초과 아파트의 거래 비중이 24%를 차지했다고 5일 밝혔다. 윤 정부 출범 이전 약 20%였던 것과 비교했을 때 4%포인트 높아진 셈이다.
정부의 안전진단 기준 완화가 구축 아파트에 대한 관심도를 높였다. 정부는 안전진단 평가 항목 중 구조 안정성 점수 비중을 50%에서 30%로 낮췄고, 주거환경과 설비 노후 점수 비중은 15%에서 30%로 높였다. 한마디로 ‘재건축’ 문턱을 대폭 낮춘 것이다.
이후 안전진단 문턱을 넘는 아파트가 늘었다. 강남권에서는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 문정동 훼밀리타운, 송파동 한양1차, 풍납동 미성맨션 등이 안전진단을 통과했다.
시장에선 구축 아파트 거래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올해 1분기 서울 아파트 매매 6448건 중 30년 초과 아파트 거래는 1198건으로 약 19%였다. 지난해 4분기와 비교했을 때 1.5배 늘어난 수준이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금리 인상 등에 따른 극심한 거래 침체 속에서도 거주와 투자가치를 겸한 강남권 30년 초과 재건축 추진 단지에 상대적으로 많은 매수세가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강남 3구에서 30년 이내 아파트의 거래 비중은 비슷하거나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5년 이내 신축 아파트와 6~10년 내 준 신축 거래 비중은 14%, 11%로 지난해와 동일했고, 11~20년 이하인 아파트는 36%로 2%포인트 감소했다.
강남 이외 지역에서는 신축 아파트의 거래가 증가했다. 윤 정부 출범 이후 14%에서 22%로 늘었다. 11∼20년 이내 비중은 30%에서 24%로, 21∼30년은 32%에서 25%로 각각 줄었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