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FC 자중지란…고소 고발 난타전

입력 2023-05-04 11:44 수정 2023-05-05 12:54

광주시민프로축구단(광주FC)이 올 들어 좌충우돌하고 있다. 1월 말 단행된 조직개편 이후 고소·고발 등 난타전으로 구단이 얼룩지고 있다.

4일 광주FC에 따르면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이사회가 지난 1월27일 사무처장과 경영지원부장을 경영본부장으로 일원화하고 경기관리지원단과 전략본부장을 신설하는 조직개편을 의결했다.

사무행정을 총괄하는 사무처장 자리를 없애고 구단 운영과 선수단 지원을 분리해 효율성을 강화한 2본부장 체제로 전환하는 게 골자다.

이 과정에서 고위직 간부 사무처장 A씨가 이사회 결정에 이례적으로 반발하면서 내홍이 불거졌다. 그는 경기장 질서유지 등을 담당하는 경기관리지원단에 무보직 발령되자 부당한 자진사퇴를 종용받았다며 광주시 문화체육관광실 소속 과장과 주무관 등 2명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고소했다.

전남지방노동위원회에 근로기준법 위반 제소도 병행했다. 이후 전남노동위가 A씨의 경기관리지원단 인사 발령은 부당하다고 A씨의 손을 들어주는 판정을 내리는 바람에 광주FC는 더 곤혹스러운 처지에 놓였다.

A씨는 “구단 대표이사가 공석인 상황에서 프로축구 ‘1부 승격’이라는 기대 이상의 성과를 냈는데도 구단주인 시장과 대표이사가 새로 선임됐으니 물러나라”는 부당한 사퇴요구를 받았다는 입장이다. 임기가 5월 말 끝나는 A씨는 불명예 퇴진을 받아들이지 않겠다며 강경한 태도다.

A씨는 여기에 그치지 않았다. 문화체육관광실 다른 주무관 B씨가 대표이사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도용해 행정관리시스템에 접속한 뒤 권한을 벗어난 결제를 했다고 주장하며 별도의 고발장도 냈다.

구단 경영개선을 명분으로 파견 나온 시 공무원이 결제권한을 부당행사하는 등 ‘공전자기록 위작혐의’가 짙다는 것이다.

광주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이에 따라 광주FC 관련 2건의 고소·고발 사건 수사를 벌였다. 다행히 광주경찰청이 지난달 말 사퇴 종용을 위한 문화체육실 과장 등의 직권남용 혐의 고소사건에 대해 ‘불송치 결정’을 내려 광주FC는 한숨을 돌리게 됐다.

하지만 바람 잘 날 없기는 마찬가지다. 광주FC가 사무처장을 대신한 경영본부장을 지난 2월 채용하면서 공모절차를 밟지 않고 이력서조차 받지 않았다는 의혹이 새로 제기됐다. 한마디로 채용절차가 상식 이하로 허술했다는 것이다.

연간 100억원 가까운 광주시 예산을 지원받는 광주FC는 부당 전보 판정에 불복해 중앙노동위에 재심을 신청하는 등 사태수습에 나서고 있지만 조직개편 과정에서 생긴 생채기가 봉합되려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2010년 말 광주시민 등 3만9000여명이 소액주주로 참여해 출범한 광주FC는 과거 국가대표와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출신 미드필더 기성용 선수의 부친이 단장을 맡았다가 광고수입금 횡령, 무기계약직 특혜 채용 의혹을 받는 등 그동안 숱한 우여곡절을 겪었다.

광주FC 관계자는 “광주공동체를 연고로 한 광주FC의 자부심을 지켜갈 것”이라며 “1부 리그 복귀를 계기로 앞으로는 시민들의 명예가 훼손되지 않도록 선수단과 임직원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