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는 최근 불거진 태영호 최고위원의 녹취록 파문과 관련해 당 윤리위원회 징계 절차 개시를 두고 “책임져야 할 사람이 누구인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윤리위만 소집해 뭘 할 수 있을까”라고 비판했다.
이 전 대표는 3일 본인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만약 힘으로 찍어 누르는 상황이라면 이제 국회의원들이 수석과 만나서 이야기할 때, 아니면 용산 사람들과 대화할 때 녹음기를 켜고 갈 것”이라며 “안 그러면 해명할 수도 없이 힘으로 찍어 눌릴 테니까”라고 말했다. 이어 “잘 생각해 보면 이미 여럿이 경험하고 있는 세계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태 최고위원은 지난 3월 전당대회 직후 의원실 보좌진과 회의를 하면서 ‘이진복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공천 문제를 거론하며 정부의 한·일 관계 개선을 옹호하는 말을 하라고 지시했다’는 취지로 발언했고, 해당 음성은 지난 1일 한 언론사를 통해 보도됐다.
이 전 대표는 “이진복 정무수석의 압박이 사실일 경우 책임질 사람은 이 수석 또는 그에게 지시한 사람, 책임 안 질 사람은 태 의원과 보좌진”이라며 “태 의원이 허언한 경우 책임질 사람은 태 의원, 책임 안 질 사람은 이 수석과 태 의원 보좌진”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떤 경우에도 보좌진이 무엇을 책임져야 하는지 불명확한데 왜 색출하고 있나”라고 반문했다.
이어 “윤리위는 명백하게 힘의 상하관계가 있고 힘이 세다고 여겨지는 쪽이 최근에 수없이 근육 자랑과 실력 행사를 해대는 상황”이라며 “태 의원이 과장했다는 말을 그대로 받아들여 징계한다면 그 자체로 태 의원은 자신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앞으로 더 크게 반발할 것을 예측 못 하나”라고 비판했다.
김기현 대표는 태 의원의 녹취록 논란에 대해 “이진복 정무수석이 하지 않은 말을 한 것처럼 본인이 과장해서 표현한 게 불필요한 오해를 일으켜서 당에 상당한 부담을 주게 됐다는 점을 평가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언급했다. 이에 윤리위는 이날 2차 회의를 열고 태 최고위원의 녹취록 논란 문제를 기존 징계 사유와 병합하기로 의결했다. 태 최고위원 측은 소명 기한인 7일까지 서면 자료를 제출하고, 8일 윤리위 3차 회의에 출석해 소명할 예정이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