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피해지의 산림생물 다양성이 회복되려면 수십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3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산불피해지 복원의 주요 연구결과와 미래방향’을 발표했다.
앞서 국립산림과학원은 1996년 강원도 고성 산불 이듬해인 1997년 153㏊ 규모의 연구지를 설치하고 27년간 복원 관련 연구를 수행했다. 2000년 동해안 산불 이후에는 삼척에 4000㏊를 연구대상지로 추가했다.
연구 결과 강릉·고성·동해·삼척 등 산불피해지에 조림된 수종들의 1년 후 평균 생존율은 소나무 89%, 활엽수는 53%였다.
소나무는 산불·재선충병에 취약하지만 산불피해지 같은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고, 송이재배 등을 이유로 산주들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원은 산불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민가나 문화재, 발전시설 인근 등의 소나무림은 불에 잘 견디는 활엽수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산불 발생 20년 뒤 숲의 회복은 조림복원이, 토양의 회복은 자연복원이 보다 효과적이었다.
조림복원지의 소나무는 강원지방 소나무 평균 키의 85~130%였던 반면 자연복원지의 신갈나무는 평균 키의 23~90%에 불과했다. 하지만 자연복원지는 조림복원지보다 토양유기물 회복률이 1.5배, 토양양분 회복률은 1.3배 높았다.
산불 피해지의 산림생물 다양성을 회복하려면 생물분류군에 따라 수년~수십년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어류는 3년에 수서동물은 9년, 곤충(개미)은 14년만에 회복됐지만 포유류는 20년이 지난 후에도 81~86%, 조류는 62~72%만이 회복됐다. 연구원은 산림생태계의 건강성을 향상시키려면 생물 회복을 촉진하는 서식지 개선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불피해지 유형에 맞도록 복원 지침을 개선하는 한편 위성·드론 기술 등을 활용해 산불피해지에 대한 100년 장기 관찰 연구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장은 “산불피해지의 장기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경제·사회·환경적 가치를 반영해 산림을 복원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