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집단행동 개시…“간호법 재논의 안되면 17일 총파업”

입력 2023-05-02 11:57 수정 2023-05-02 13:26
2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앞에서 열린 간호법 저지를 위한 13개 단체 보건복지의료연대 투쟁 로드맵 발표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의사와 간호조무사 등 의료 단체가 간호법 제정안 통과에 반발하며 3일과 11일 연가 투쟁을 시작으로 집단행동에 나선다. 또 재논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오는 17일 연대 총파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대한의사협회, 대한간호조무사협회를 비롯해 13개 보건의료단체로 구성된 보건복지의료연대(의료연대)는 2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의협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투쟁 로드맵을 발표했다.

의료연대는 3일 연가나 단축 진료를 통해 전국적인 대규모 집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우선 3일 오후 각 시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간호법·면허박탈법 강행처리 더불어민주당 규탄대회’를 개최한다.

이미 간호조무사협회는 연가투쟁을 선언했으며 의사를 포함한 다른 의료단체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집회 참여를 독려할 계획이다.

의료연대는 “3일 집단행동이 파업의 1단계”라며 “환자와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급적 시간대를 늦은 오후로 잡았다”고 설명했다.

2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앞에서 간호법 저지를 위한 13개 단체 보건복지의료연대 투쟁 로드맵 발표 기자회견이 열린 가운데 이필수 대한의사협회장과 곽지연 대한간호조무사협회 회장이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의료연대는 이어 11일에도 2차 연가·단축 진료 투쟁에 나설 계획이다.

이 같은 집단행동에도 불구하고 간호법 재논의 요구가 수용되지 않으면 의료연대는 오는 17일 ‘400만 연대 총파업’ 등 고강도 투쟁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의료연대는 “파업 등 단체행동에 대해 의사협회 설문조사에서 전 유형에 걸쳐 찬성률이 80%가 넘는 등 악법에 반발하는 의료계 여론이 매우 높다”고 강조하며 “국민께 의료공백으로 인한 불편·우려를 끼치고 싶지 않기에 심사숙고해가며 투쟁 방법과 강도를 조절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명하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가급적 합법적인 범위 내에서 투쟁을 진행하려는 고민이 있다”며 “연가투쟁 시 의료 현장 최소화를 위해 자율적으로 시간·형태를 다양하게 조정해서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17일 총파업 이후 계획에 대해 “파업이 목적이 아니므로 대통령 거부권 행사 여부를 보고 추가로 논의할 것”이라며 “대통령께서 국무회의에서 (거부권으로) 결론 내주시길 바란다”고 거듭 당부했다.

오기영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