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복합위기 속에서 노동자들은 ‘과소고용’과 ‘과잉근로’로 고통받고 있다”며 윤석열 정부에 대해 거듭 비판하고 나섰다.
김 지사는 노동절인 지난 1일 자신의 페이스북 ‘노동자에게 자부심과 희망을 드리겠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노동개혁은 노조 탄압과 주 69시간 근로제 등 시작부터 혼선을 빚고, 노동현장에서는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일어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지사는 이어 정부의 각종 정책과 윤 대통령의 5박 7일간 미국방문과 관련해 “민생과 경제는 회복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외교는 포장만 있을 뿐 원칙도 없고, 북한과는 날로 긴장을 더하고 있다. 기후변화 같은 미래위기 미래위기 대응은 오히려 후진 중”이라고 꼬집으며 “일자리 대책은 보이지 않고, 한미정상회담은 ‘국빈’ 대접만 눈에 띌 뿐, IRA·반도체지원법 등 경제 현안에서는 아무런 진전이 없다”고 또 다시 직격탄을 날렸다. 이어 “각 부문에서 ‘통합’은 온데간데없고 '갈등'만 커진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경기도는 다르게 하겠다”고 강조하고 나섰다.
그는 “상호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상생의 노·사·정 관계를 정착하고, 좋은 일자리 창출과 사회적 책임 실천을 위해 협력하겠다. ‘갈등’이 아닌 ‘통합’의 길로 나서겠다”며 “임기 내 100조원 투자를 유치해 경제의 역동성을 살리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겠다. ‘경기 RE100’을 통해 새로운 미래 성장동력을 더하겠다. 두터운 사회안전망 구축도 소홀히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경기도는 약속을 지키겠다”고 다짐했다.
앞서 김 지사는 지난달 27일에는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4·27 판문점선언 5주년 학술회의:평화의 봄을 부르다’에서 한미정상회담에 대해 “국익은 사라져버리고 경제는 들러리 선 정상회담”이라고 직격탄을 날리며 윤석열 정부의 민생·경제·노동·외교·안보 등을 전반적으로 비판하한 바 있다.
이어 28일 수원 경기종합노동복지회관에서 열린 한국노총 ‘제133주년 노동절 기념행사’에서는 “노동에 있어서 우리가 추구하는 가치는 노동의 기본권, 장시간 근무 지양, 저임금 개정, 안전한 일터의 확보, 이런 것들이 아니겠나”라며 “정부의 태도는 노조 활동을 탄압하고 근로 시간 69시간을 얘기하면서 우리가 가려고 하는 방향을 근본적으로 흔들고 있다”고 비판한 바 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민생과 경제에 대해서도 “전세 사기, 뿌리산업과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어려움,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적자 등 굉장히 힘든 상황에서 신자유주의에 맞는 정책을 펴면서 대한민국 경제를 후퇴시키고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