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최대 라면회사 닛신식품이 국내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와 비슷한 신제품을 출시한 것은 한국 기업에 모방을 당해온 일본 기업 복수일 수도 있다는 주장이 일본 내에서 제기됐다.
시사주간지 뉴스위크 일본어판은 ‘일본이 한국을 베꼈다? 닛신 UFO 신제품이 한국 불닭볶음면과 너무 닮았다며 한국 누리꾼들 대소동’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지난 26일 올렸다.
이 매체는 “한국 라면 업계가 호황을 누리는 중 닛신식품의 신제품 ‘닛신 야키소바 UFO 진한 한국식 매콤달콤 까르보’가 한국 삼양식품 ‘까르보 불닭볶음면’과 닮았다는 논란이 화제”라고 운을 뗐다.
이어 “한국에서는 ‘일본 라면 원조가 삼양식품의 볶음면을 베꼈다’는 보도가 있다”며 “‘한국에 졸곧 모방 당한 일본이 이번에는 한국을 모방했다’는 의견도 나온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계속 모방당한 일본의 복수?’라는 소제목에 그간 제기됐던 한국 기업 표절 논란을 거론했다.
이 매체는 대표적인 예로 농심 ‘새우깡’과 일본 칼비 ‘갓파에비센’, 롯데 ‘빼빼로’와 글리코 ‘포키’를 비교했다.
뉴스위크는 “새우깡은 1971년에 처음 나왔고, 칼비가 갓파에비센을 출시한 것은 1964년이었다. 글리코가 포키를 시판한 것은 1996년이고, 빼빼로는 1983년 처음 나왔다”고 설명했다.
뉴스위크는 또 오리온제과 ‘초코송이’는 메이지 ‘기노코 산’, 해테제과 ‘칼로리밸런스’는 오츠카제약 ‘칼로리메이트’, 남양유업 ‘17차’는 아사히음료 ‘16차’를 모방했다고 주장했다.
해당 매체는 “이제는 (한국이) 모방을 당하는 처지가 됐다”며 “닛신 볶음면 표절 논란은 아시아 소프트파워의 중심축이 일본에서 한국으로 넘어갔음을 보여주는 사례”라는 한국 대학교수의 말을 인용하기도 했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뉴스위크와의 인터뷰에서 “닛신 제품이 우리 불닭볶음면과 제품명이 달라 법적인 대응은 어렵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일본에서 불닭볶음면의 고유성을 강조한 마케팅을 하는 등 다양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노혜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