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OPEC+ 석유 감산으로 시장 균형 이뤘다”

입력 2023-04-27 20:20 수정 2023-04-27 20:23
사진 AP연합뉴스

러시아 정부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산유국 협의체인 ‘OPEC 플러스(OPEC+)’가 최근 발표한 석유 감산 결정 이후 추가 감산은 없다고 못 박았다.

2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알렉산드르 노박 러시아 부총리는 이날 저유가에 따른 OPEC+의 추가 감산 계획이 있는지를 묻는 기자들의 말에 “물론 없다”고 단언했다. 그는 “감산 결정을 한 게 불과 한 달 전”이라면서 “이에 동참한 국가들로부터 효과가 나타나려면 5월은 돼야 한다”고 답했다.

지난달 러시아는 서방이 러시아산 석유제품에 가격상한제를 시행하자 하루에 50만 배럴씩 석유 생산을 줄이기로 했다. 이 같은 방침은 6월 말까지 예정됐으나 이후 올해 말까지로 연장됐다. 이후 지난 2일 OPEC+가 하루 166만 배럴 규모의 석유 감산을 결정했다.

노박 부총리는 감산 추진 상황과 관련해선 “이달 들어 (일일 50만 배럴 감산) 목표를 달성했다. 기업들이 의무를 이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결정이 하반기 석유 공급 부족 현상을 심화할 것이라는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우려를 정면 반박했다. 러시아와 다른 나라들의 감산이 반영돼 이제서야 시장 균형을 이뤘다는 게 노박 부총리의 주장이다.

노박 부총리는 기존에 유럽으로 수출하던 1억4000만t의 석유·석유제품을 올해 아시아로 수출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유럽 수출량은 기존 2억2000만t에서 올해 8000만~9000만t으로 줄어들게 된다.

그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올해 하반기 예상됐던 중국의 석유 수요 회복이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도 표했다. 또 올해 러시아의 석유·가스 응축물 생산량은 5억1500만t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생산량 5억3500만t보다 소폭 줄어든 수치다.

미국 등 주요 7개국(G7)과 유럽연합(EU)은 지난해 12월 5일부터 러시아산 원유가격 상한선을 1배럴당 60달러 이하로 제한하는 가격상한제를 시행 중이다. 러시아산 정제 유류제품에 대한 가격상한제도 지난 2월 5일부터 도입했다.

러시아는 이에 맞서 지난달 석유 감산 결정을 내렸다. 이후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도 지난 2일 석유 감산에 참여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