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정상회담 이후 조 바이든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주재한 국빈 만찬에서 자신의 ‘십팔번’이라고 밝힌 돈 맥클린의 ‘아메리칸 파이’를 열창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윤 대통령이 평소 맥클린의 노래를 즐겨 듣는다는 점을 고려해 맥클린의 친필 사인이 담긴 통기타를 깜짝 선물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음악 공연을 곁들인 만찬이 한창 진행되던 중 윤 대통령과 함께 무대에 올랐다.
윤 대통령은 내빈들이 노래를 요청하자 “한미 동맹의 든든한 후원자이고 주주이신 여러분께서 원하시면 한 소절만 (부르겠다)”며 “근데 (가사가) 기억이 잘 날지 모르겠다”고 했다.
곧이어 피아노 연주가 흘러나왔고, 윤 대통령은 “A long long time ago, I can still remember how that music used to make me smile(아주 오래전을 난 기억해. 그 음악이 얼마나 나를 웃게 해 주었는지)”라며 아메리칸 파이의 앞 소절을 1분간 열창했다.
노래 시작과 동시에 장내에선 환호성이 터져 나왔다.
두 손을 모으고 귀를 기울이던 바이든 대통령도 활짝 웃더니 두 주먹을 흔들며 환호했다.
노래는 “But something touched me deep inside. The day the music died(하지만 무엇인가가 내 마음속 깊은 곳을 건드렸다네. 음악이 죽은 그 날에)”에서 마무리됐다.
마지막 구절은 ‘떼창’으로 이뤄졌다.
노래가 끝나자 참석한 내빈들은 일어나 기립 박수를 보냈다.
1971년 발표된 이 곡은 미국의 유명 로큰롤러인 버디 홀리의 죽음을 추모하는 곡으로 빌보드 싱글 차트 1위에도 오른 적이 있는 맥클린의 대표곡이다.
윤 대통령이 대권 주자 시절 개설한 페이스북에서 ‘18번’이라고 밝힌 곡이기도 하다.
윤 대통령은 당시 프로필에 “축구는 중거리 슛과 코너킥 전문, 야구는 투수, 스피드스케이트는 국대급(리즈시절)”이라며 “18번 곡은 돈 맥클린의 ‘아메리칸 파이’와 ‘빈센트’, 그리고 송창식의 ‘우리는’, 잘 부르지는 묻지 마시길, 열심히는 부름”이라고 적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