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성매매라는 개념 외에 다양한 성적 학대 행위를 포괄하는 ‘성착취’ 개념을 도입하고 피해자에 대한 원스톱 지원에 나선다. 시는 피해자들에게 자립정착금을 지원하고, 장애인이나 남성 등 상대적으로 사각지대에 있는 계층도 지원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갈수록 심각해지는 아동·청소년 성착취 피해로부터 피해자를 보호하고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지원대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특히 성매매 피해에 한정해서 지원하던 것을 성착취 피해로 지원대상을 확대하고, 그루밍·협박·폭행 등 피해 초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시는 지난해 전국 최초로 아동·청소년 성착취 방지 및 피해자 지원 조례를 제정하고 자발적 거래라는 통념이 내포된 성매매라는 용어 대신 ‘성착취’ 개념을 채택했다. 이 개념은 성행위(성매매)뿐만 아니라 성적 대화, 자위 등 성적 행위, 신체 노출, 유흥업소에서의 성적 서비스 등 다양한 성적행위를 포괄하는 것이다.
시는 올해 본격적으로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우선 ‘서울 성착취 피해 아동·청소년 통합지원센터’를 5월부터 운영한다. 이를 통해 성착취로 유입되기 전 그루밍 단계부터 협박·성폭력 등 중층피해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한다. 이와 함께 서울경찰청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피해 아동·청소년 경찰 조사 시 전문상담원 동석 제도도 같은 달부터 시행한다.
가족 기반이 취약하고 원가정 복귀가 어려워 반복적으로 성매매 환경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자립정착금 1000만원도 6월부터 지급하고 시립 늘푸른교육센터를 통해 직업훈련 및 취업연계 등 자립을 지원한다.
시는 지적장애 등 성착취에 더욱 취약한 사각지대 아동·청소년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착취 예방교육, 자기방어 훈련 등 맞춤형 교육과 건강지원도 강화한다. 또 시립 십대여성건강센터에서는 올해부터 남성 피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의료지원 및 심리상담 등을 확대 지원한다.
이외에도 아동·청소년들의 위기 상황에 개입하여 피해를 차단하기 위한 현장 접근성도 강화한다. 이달부터 시립 십대여성일시지원센터는 가출 위기청소년 밀집지역 등으로 찾아가는 현장지원단을 확대 운영한다. 시는 온라인상 성적 유인행위 모니터링도 실시할 계획이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아동·청소년들이 트라우마 등 성착취 피해로 인한 고통을 치유하여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돕고, 성착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는 노력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