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워싱턴포스트(WP) 인터뷰 발언이 논란이 되자 ‘오역’이라고 주장했던 유상범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이 인터뷰 원문 녹취록이 공개되자 자신의 주장을 철회했다.
유 수석대변인은 25일 “사실관계 파악에 미흡했다”며 “조금 더 신중한 태도로 논평에 임하겠다”는 입장을 언론에 밝혔다. 인터뷰 원문이 공개되면서 윤 대통령의 발언이 정확히 드러나자 자신의 논평이 잘못됐다는 점을 시인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전날 공개된 WP 인터뷰를 통해 “100년 전의 일을 가지고 (일본에) ‘무조건 안 된다’, ‘무조건 무릎 꿇어라’라고 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야권을 중심으로 거센 비판이 제기되자 유 수석대변인은 ‘오역’이라고 주장하며 윤 대통령 발언을 옹호했다. 유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무조건 안 된다, 무조건 무릎 꿇어라라고 하는 것은 (일본이) 받아들일 수 없다’로 해석해야 한다”며 “영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오역을 가지고, 민주당은 실제 발언은 확인하지도 않고 반일 감정을 자극하고 나섰다”고 비판했다.
여당이 제기한 오역 논란은 윤 대통령과 직접 인터뷰한 WP 기자가 녹취록을 트위터에 공개하면서 일단락됐다. 공개된 녹취록에는 해당 발언의 주어가 일본이 아니라 윤 대통령 본인으로 정확하게 적혀 있다. 윤 대통령은 WP 인터뷰에서 “정말 100년 전의 일들을 가지고 지금 유럽에서는 전쟁을 몇 번씩 겪고 그 참혹한 전쟁을 겪어도 미래를 위해서 전쟁 당사국들이 협력하고 하는데 100년 전에 일을 가지고 무조건 안 된다. 무조건 무릎 꿇어라라고 하는 이거는 저는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주어는 일본이 아닌 윤 대통령 본인이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