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대전 특화 과학산업을 육성하고 세계적인 과학산업 융합혁신거점을 조성한다.
시는 25일 ICC 컨벤션홀에서 ‘2023년 제1회 과학기술위원회’를 개최하고 과학기술분야 정책 및 사업 등 3건의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과학기술위원회는 대전시장을 의장으로 하는 지역과학기술 분야 최상위 의사결정 기구다.
의결된 3건의 안건은 대전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23~2027) 수립안, 대전시 과학기술육성기금 존속기간 연장안, 과학체험 확산 자치구 지원사업 기금 승인안이다.
이중 대전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은 5년마다 수립하는 중·장기 계획으로 대덕특구 재창조 및 지역 인재 양성, 창업·일자리 창출 등을 위한 추진과제가 담겼다.
종합계획의 4대 추진전략은 ‘대전 특화 과학산업 육성’ ‘세계적 과학산업 융합혁신거점 조성’ ‘딥테크 창업도시 조성’ ‘지역기반 과학산업 혁신인재 양성’으로 설정했다.
대전 특화 과학산업 육성전략은 핵심전략산업 육성 및 과학기술혁신 고도화, 지역산업 성장을 위한 기술기반 조성 등을 세부과제로 설정했다.
세계적 과학산업 융합혁신거점 조성 전략에는 대덕특구와 연계한 융합혁신 생태계 조성, 초광역 융합혁신 플랫폼 허브 역량 강화 등의 과제가 담겼다. 또 지역 과학산업 생태계를 강화하고 초광역·글로벌 과학산업 플랫폼을 구축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딥테크 창업도시 조성 전략은 공공기술 실증·사업화 및 과학융합문화 저변 확대 등의 과제가 담겼으며, 지역기반 과학산업 혁신인재 양성 전략에는 혁신인재와 글로벌 우수인재들을 양성·확보하기 위한 방안이 포함됐다.
위원회는 이와 함께 과학기술진흥사업의 지속적인 추진을 위해 과학기술육성기금 존속기간을 2028년 12월 31일까지 5년 더 연장했다. 대덕특구 50주년을 맞아 자치구별 최대 5000만원씩 지원하는 과학체험 확산 자치구 지원사업 기금승인안도 의결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대전은 대한민국 과학수도로서 정책과 사업 추진시 과학기술이 중심이 돼야 한다”며 “종합계획이 의결된 만큼 더욱 속도감 있게 관련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