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을 인터뷰한 워싱턴포스트(WP) 기자가 25일 “100년 전 일을 가지고 ‘무조건 안 된다’ ‘무조건 무릎 꿇어라’고 하는 이거는 ‘저는’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라고 말한 윤 대통령의 발언을 그대로 공개했다. 여권이 인터뷰 기사에 오류가 있다는 주장을 펴자 이에 반박한 것으로 해석된다.
전날 WP의 윤 대통령 인터뷰 기사가 보도된 이후 야권은 대통령의 발언이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00년 전 역사 때문에 일본에 사과를 강요할 수 없다’는 윤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당황스럽고 참담하다”고 직격했다.
이 대표는 “‘대한민국 대통령의 발언인가’라고 의심이 될 정도로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발언”이라며 “수십년간 일본으로부터 침략당해 고통받은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결코 해서는 안 될 발언이며, 대통령의 역사의식이 과연 어떠한지 생각해보게 된다”고 비판했다.
논란이 거세지자 대통령실 해외홍보비서관실은 기사에서 인용된 윤 대통령의 발언 중 한·일 관계 관련 내용에 대한 추가 설명 자료를 배포했다.
대통령실은 실제 윤 대통령의 발언이 “지금 유럽에서는 참혹한 전쟁을 겪고도 미래를 위해 전쟁 당사국들이 협력하고 있습니다. 100년 전의 일을 가지고 ‘무조건 안 된다’ ‘무조건 무릎 꿇어라’고 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이는 결단이 필요한 것입니다… 설득에 있어서는 저는 충분히 했다고 봅니다”였다며 주어가 없는 판본으로 인터뷰 발언을 자체 공개했다.
인터뷰 기사에 실린 발언과 다르게 주어가 빠져 있다.
대통령실은 이어 “(윤 대통령의 발언은) 이런 식의 접근이 미래 한·일 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취지였다”고 설명했다. 국민의힘도 ‘인터뷰 발언 중 주어가 빠졌다’며 “받아들일 수 없다” 발언의 주어가 윤 대통령이 아니라 일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오역 논쟁이 불붙자 WP 기자인 미셸 예희 리(Michelle Ye Hee Lee)는 이날 자신의 SNS에 올린 글에서 “녹음 파일을 갖고 재차 교차 검증했다. 정확히 말한 그대로(word-for-word) 올린다”며 이같이 말했다.
기자가 올린 녹취록에서 윤 대통령은 “정말 100년 전의 일들을 가지고 지금 유럽에서는 전쟁을 몇 번씩 겪고 그 참혹한 전쟁을 겪어도 미래를 위해서 전쟁 당사국들이 협력하고 하는데 100년 전 일을 가지고 무조건 안 된다, 무조건 무릎 꿇어라라고 하는 이거는 ‘저는’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라고 발언했다.
이는 앞서 대통령실이 공개한 인터뷰 발언 내용과는 차이가 있다. 대통령실 공개본에는 ‘무조건 안 된다’ ‘무조건 무릎 꿇어라’라는 발언의 주어가 쓰여 있지 않다. 하지만 WP 기자의 녹취록에서 “저는”이라는 주어가 등장하면서 자칫 지난해 미국 순방 당시 ‘바이든-날리면’ 논쟁에 이어 다시 논란이 확산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민주당 이 대표는 이날 오전 “지금 국민에게 독해력 테스트를 하고 있는데 옳지 않은 일”이라며 “안보와 관련해서는 당연히 초당적으로 협력해야 하지만 이는 국민을 존중할 때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앞서 WP 인터뷰 공개 후 여당은 인터뷰 번역 과정에서 ‘주어가 빠져서 혼동이 생긴 것’이하는 논리를 폈다. 유상범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MBC라디오에서 “한글 원문을 보면 주어가 빠져 있다”며 “(영어로) 번역 과정에서의 오역”이라고 말했다.
유 대변인은 전날 논평에서도 “해당 문장은 ‘무조건 안 된다, 무조건 무릎 꿇어라라고 하는 것은 일본이 받아들일 수 없다’로 해석해야 한다. 바로 뒤에 ‘이는 결단이 필요한 것이다’라고 말한 것을 보면 이것이 상식적”이라고 주장했다.
김정재 국민의힘 의원은 YTN라디오에서 “일본이 무조건 무릎을 꿇으라고 하는 것은 일본이 받아들일 수 없다, ‘일본’이라는 주어가 해석에서 빠진 것 같다”고 말했다. 김병민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단어 하나하나, 이렇게 오해의 소지가 있게 인터뷰가 나가는 건 아쉽다”며 책임을 언론에 돌렸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