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먹거리 선순환 체계 실현을 선도할 광역형 컨트롤타워인 전북먹거리통합지원센터가 24일 문을 열었다.
전북도는 이날 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에서 전북먹거리통합지원센터 개소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개소식에는 김종훈 경제부지사와 국주영은 도의장, 오은미 도의원, 전북먹거리연대 조성근 집행위원장, 도내 14개 시·군 관계자와 생산농가 등 100여 명이 참여했다.
커팅식에는 14개 시·군을 대표하는 농산물과 지역가공품이 등장, 눈길을 끌었다. 이후 로컬푸드를 취약계층에 기부, 지역농산물 공급 확대와 먹거리 기본권 보장 등 센터 출범의 취지를 살렸다.
1센터 3팀으로 운영되는 이 센터는 단순 물류기능을 배제하고 시‧군간 잉여‧부족 품목 수급조절, 시‧군 센터의 역량강화와 시‧군간 연계‧협력지원 등 도와 일선 지자체 먹거리 정책을 실행할 계획이다.
도는 전북형 먹거리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 12월까지 시‧군 시범운영을 거친 뒤 내년부터 본격 운영할 예정이다.
앞서 전북도는 2021년 12월 시‧군간 격차 해소와 센터간 교류 활성화 등을 위해 전라북도 먹거리 기본조례를 제정했다.
이은미 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장은 “전북먹거리통합지원센터는 지역 먹거리가 지역에 우선 공급되도록 14개 시‧군 먹거리정책의 동반자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종훈 전북도 경제부지사는 “전북먹거리통합지원센터는 도민 먹거리 보장과 정책적 배려 대상농가의 소득 안정을 위한 전북만의 차별화된 모델”이라며 “연 5000억원 규모의 먹거리 관계시장 창출을 목표로 전북특별자치도의 대표 브랜드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