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대 시중은행의 신입직원 채용이 코로나19 직전보다 30%가량 감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24일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주요 시중은행의 채용실적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의 신입직원 채용 수는 총 1662명으로, 2019년 2301명보다 27.8% 감소했다.
5대 은행 신입직원 수는 코로나19 이전인 2017년 2153명, 2018년 3121명, 2019년 2301명으로 2000∼3000명을 기록했으나 2020년 1077명으로 급감했다. 이후 2021년 1248명, 2022년 1662명으로 늘고 있으나 코로나19 이전 수준에는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이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더불어 영업 점포가 줄어들면서 인력 수요가 감소한 영향으로 보인다. 국민은행은 2019년 신입직원 394명을 채용했지만 지난해 238명을 신규 채용하는 데 그쳤다. 신한은행 역시 지난해 신입직원 수가 469명으로 2019년(508명)에 비해 40명 이상 줄었다. 우리은행은 신입직원 수가 2019년 739명에서 지난해 310명으로 절반 이하로 줄었고, 하나은행은 같은 기간 130명에서 85명으로 줄었다. 농협은행만 2019년 530명에서 작년 560명으로 신입직원 수가 늘었다.
다만 국민은행, 신한은행의 경우 신입직원과 경력직원을 포함한 채용 직원 수는 이전보다 많았다. 국민은행의 작년 신입·경력직원 채용은 508명, 신한은행은 547명으로 2019년 각각 497명, 533명보다 소폭 늘었다. 우리은행(805명→411명)·하나은행(304명→250명)·농협은행은 경력직원을 포함해도 채용 직원 수가 줄었다.
윤창현 의원은 “금융 분야는 청년들이 가장 취업하기를 원하는 분야”라며 “‘규제혁신-투자확대-더 많은 채용’의 선순환 시스템이 작동될 수 있도록 규제개혁 과제가 속도감 있게 추진 될 수 있도록 당정이 힘을 모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