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는 ‘창원도시관리계획 재정비’ 수립으로 도시의 여건 변화에 따른 불합리한 도시계획 조정과 미래형 도시경관 개선을 추진 한다고 20일 밝혔다.
도시관리계획 재정비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도시기본계획에서 제시된 장기적인 발전 방향을 공간에 구체화하고 실현 시키는 중기계획으로 5년마다 도시의 여건 등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해 반영하는 법정계획이다.
지난 2월 ‘2040년 창원도시기본계획’ 최종 승인에 따라 시는 변화된 사회·경제적 여건에 맞춰 도시발전 방향 및 도시의 미래상을 구체화하고 합리적이지 못한 도시계획시설과 용도지역·지구 등 도시관리계획을 정비할 예정이다.
시는 지난 2010년 창원·마산·진해 통합 이후 2016년 처음으로 2020도시관리계획을 수립했으며 현재 2030창원도시관리계획 수립용역 시행을 위해 사업수행능력평가를 진행 중이며 5월 중 계약 및 착수해 2025년 완성할 예정이다.
기초자료 수집 및 현황 조사와 관련 부서 협의와 그동안 민원사항 등을 검토해 1차로 공공시설인 도로, 주차장 등 도시계획시설 재정비(안)을 마련해 정비할 계획이며 이후 용도지역·지구, 공원 등 2차 재정비(안)를 마련해 2025년까지 도시관리계획(재정비)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시는 또 도시경관 개선을 위해 경관 및 공공 디자인 진흥계획 수립, 건축물 등 경관심의를 통한 가로경관의 관리,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경관사업 등을 시행해온 것에 더해 올해 수요자 중심의 경관 정책 비전과 전략 마련을 위한 미래형 도시경관의 큰 틀을 제시한다.
올해는 기존 경관 정책 및 관리 틀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수요자 중심의 접근으로 도시경관 변화 혁신을 도모할 계획이다. 향후 5년간 시 경관정책 방향과 구체적 집행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2018년 수립된 경관계획을 재정비하는 용역을 한다.
경관계획은 경관법에 따라 수립되는 법정계획으로 시는 경관계획 수립의 전문성, 실효성 강화를 위해 사업 시행 전부터 민간 전문가 자문단을 구성해 의견 수렴 및 반영할 계획이다.
문상식 시 도시정책국장은 “창원도시관리계획 재정비로 불합리한 용도지역·지구 등 현실화와 도시계획시설 정비로 도시공간 구조 재편 및 지속 가능한 도시발전이 기대되며 도시품격을 향상하는 다양한 경관 사업을 통해 특례시 위상에 걸맞는 도시품격을 갖춰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