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19일 “북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초고성능 무기를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보도된 로이터통신과 인터뷰에서 북한에 대응해 “감시 정찰자산의 확충과 정보 분석 등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며 “확장억제도 있지만, 초고성능, 고위력 무기들을 개발해 준비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고 대통령실은 소개했다.
윤 대통령은 또 “만약 남북 간 핵이 동원되는 전쟁이 벌어진다면, 이는 남북 간 문제만이 아니라 동북아 전체가 잿더미로 변하는 일이 될 것”이라며 “이를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북 정상회담을 국내 정치적 이유로 서둘러 추진하지 않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윤 대통령은 “선거가 임박해 남북정상회담을 활용하고 결국 남북 관계가 원점으로 되돌아가는 일을 반복했다”며 “과거에도 남북 정상들이 만난 적이 있지만 상당한 기간을 두고 단계를 밟아나가고 또 국민적인 지지를 받아 가면서 물꼬를 텄다면 남북 관계가 거북이걸음이지만 꾸준하게 발전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윤 대통령은 “‘보여주기식’ 남북 정상회담은 없을 것”이라며 “쇼를 위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회담은 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로이터는 보도했다.
그러면서도 “다만 평화 증진을 위한 대화의 문은 열려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러시아 침공으로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서 민간인에 대한 대규모 공격 등이 발생하면 군사적 지원 제공을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민간인에 대한 대규모 공격, 학살, 심각한 전쟁법 위반과 같이 국제사회가 용납할 수 없는 상황이 있다면, 우리가 인도주의적 또는 재정적 지원만 주장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한국이 6·25전쟁 기간 국제 원조를 받았던 것과 같이 우크라이나 방위 및 재건을 도울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는 언급도 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민간인 대규모 공격이라는 전제 조건을 달기는 했지만, 정부 입장의 변경 가능성을 대통령이 직접 언급한 것이다. 우크라이나와 미국 등 서방은 러시아의 침공으로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대해 한국이 무기를 지원하도록 압박해 왔으나 한국은 국내 규정상 이를 거절해 왔다.
중국과 대만의 양안 갈등과 이를 둘러싼 국제사회의 긴장과 관련해서는 “무력으로 대만해협 현상을 변경하는 데 절대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