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 시내버스 노동조합과 회사가 임금·단체 협상에 이견을 좁히지 못하며 난항을 겪으면서 창원 시내버스 회사 소속 724대가 멈춰 설 위기에 놓였다.
한국노총 소속 동양교통 등 7개 버스회사로 구성된 창원시내버스노조협의회는 서울, 부산, 대구 등 대도시와 비슷한 수준의 임금 인상률인 임금 7.4% 인상과 만 65세까지 정년 연장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사측은 인구 102만명의 창원지역은 서울, 부산 등 대도시와 비교해 인구가 적은만큼 수익도 줄어 임금을 큰 폭으로 올릴 수 없는 상황이며 지난해 이미 타 지역과 임금 격차를 줄이기 위해 임금을 7.5%로 올렸다며 맞서고 있다.
노조는 또 교통 혼잡시간 운행 후 휴식 시간 보장을 요구, 노조 측은 교통량이 많아지는 퇴근 시간 편도 1시간30분 소요되는 운행이 2시간으로 늘어나 연착할 경우 화장실만 갔다가 다시 핸들을 잡아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며 휴식 시간 보장도 요구하고 있다.
이 같은 의견 대립으로 노사는 8차례에 걸친 임단협에서도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이날 오후 3시부터 경남노동위원회에서 마지막 조정 회의를 하고 있다. 결렬 시 노조는 19일 오전 5시 첫차부터 총파업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창원시는 파업에 대비한 교통불편 최소화 대책으로 출·퇴근 시간대 임차 버스 142대와 공영버스 10대 등 버스 152대를 시내버스 노선에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시민들은 임차·공영버스를 탈 경우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시는 또 택시 800대(개인·법인 포함)도 시내버스 노선에 배치, 택시는 각각 지정된 시내버스 노선대로 운행할 예정이다. 승객들은 택시 이용시 버스 이용요금(일반 1500원)보다 저렴한 1인 1회 1000원을 내면 된다.
시가 시내버스 파업을 대비해 버스와 택시 등 952대를 투입하기로 했지만 실제 파업이 이뤄지면 평소 버스를 타고 출·퇴근하던 승객들의 불편이 불가피해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