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디지스트)은 뉴바이올로지학과 예경무 교수팀이 항암화학요법에 의해 발생하는 암 악액질(Cancer cachexia·복합적인 질환으로 암 환자에서 정상적인 음식 섭취를 통해 칼로리를 보충해도 회복이 되지 않는 체질량의 소실이 이루어지는 전신적인 영양 부족 상태)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항체 약물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항체 약물은 식욕 개선과 골격근, 지방 조직의 복구를 통해 암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항암 치료에 대한 반응률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항암치료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암이 진행됨에 따라 크게 체중이 감소하고 체력이 없어지는 암 악액질은 전 세계적으로 허가받은 치료제가 없어 대안으로 식욕 촉진제 등 보존 요법만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화학항암요법에 의해 발생하는 암 악액질 유발에 주요한 신호 전달 경로(GDF15·GFRAL·RET 축)가 밝혀짐에 따라 해당 경로 억제를 통한 암 악액질 개선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예경무 교수 연구팀은 기존에 확인된 대사 경로와는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GDF15·GFRAL·RET 축을 관찰했다. 특히 그중에서도 뇌간 특이적 발현에 따른 항체 약물 개발 가능성을 지닌 표적인 GFRAL에 주목했고 길항제 항체를 통해 화학항암제 시스플라틴에 의해 유도되는 암 악액질 증상의 효과적인 개선을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예경무 디지스트 뉴바이올로지학과 교수는 “기존 암 치료 전략은 주로 환자의 암 제거와 생존에만 초점이 맞춰져있었기 때문에 본 치료제와 같이 암 환자의 삶의 질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은 매우 새로운 전략이다”며 “향후 항암 치료전략의 방향성에 지대한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단의 지원을 통해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노화 분야 세계적 권위지(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에 4월 5일에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