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와 국내 양자산업을 이끄는 핵심기관 9곳이 ‘양자산업 선도도시 대전’을 만들기 위해 손을 잡았다.
시는 17일 대전시청 대회의실에서 9개 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시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국방과학연구소(ADD), 나노종합기술원(NNFC), 국가보안기술연구소(NSR) 등이 참여했다.
각 기관은 앞으로 양자과학기술 연구개발 및 산업지원 인프라 구축, 양자과학기술 고급전문인력 및 산업인력 양성, 연구개발 및 핵심기술 확보, 양자 분야 투자 활성화와 양자관련 기업육성및 유치, 양자 분야 국가사업 유치 등에 힘을 모으게 된다.
양자컴퓨팅·양자통신·양자센싱·양자소재 등 그동안 각 기관이 개별로 실시했던 양자 연구에 대한 교류와 동반성장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반도체가 현재 기술패권 경쟁의 핵심이라면, 양자기술은 기존 산업 패러다임을 뒤흔들 수 있는 게임 체인저 기술”이라며 “대전은 양자 관련 기술역량 인프라가 어느 지역보다 잘 갖춰져 있는 도시다. 오늘 협약이 국내 양자산업 발전에 획기적 이정표를 만드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양자기술은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는 혁신기술이다. 국가경쟁력을 좌우할 미래기술로 주목받으면서 기술 선점을 위한 국가간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대전은 국내 양자기술 전문인력의 절반에 가까운 47%를 보유하고 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