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럽게 불안감과 두려움을 느끼거나 발작 증상를 동반하는 공황장애 진료 건수가 4년 새 44.5% 급증했다. 연령대 별로는 40대 환자가 23.4%로 가장 많았다.
국민건강보험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누적된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분석해 공황 장애의 진료 현황을 13일 발표했다.
공황장애는 갑작스럽게 심한 불안과 두려움을 느끼며 발작을 동반하는 장애를 말한다. 발병에는 심리적 스트레스, 신체 질환, 과로, 음주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초기 성인기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황장애 진료 건수는 2021년 기준 20만540명으로 2017년(13만8736명) 대비 44.5%(6만1804명)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9.6%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공황장애 진료 인원은 2017년 272명에서 2021년 390명으로 43.4% 증가했다.
2021년 기준 공황장애 진료를 받은 환자의 연령대에선 40대 환자가 23.4%(4만6924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후 50대가 19.2%(3만 8519명), 30대가 18.3%(3만 6722명) 순으로 나타났다.
박재섭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유독 40대에서 많은 공황장애 환자 연령대에 대해 “초기 성인기에 치료하지 않고 악화된 후에야 뒤늦게 진료를 시작했을 수 있다”며 “초기에 꾸준히 치료하지 않아 만성화하거나 재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일 수 있다”고 말했다.
공황장애 환자가 늘어나면서 총진료비도 증가했다. 공황장애 환자의 건강보험 총 진료비는 2017년 496억원에서 2021년 910억원으로 83.5%(414억원)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16.4%였다.
1인당 평균 진료비는 2021년 기준 45만4000원이었다. 이는 2017년(35만7000원) 대비 27% 증가한 금액이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