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출입기자 96.2% “선거제도 개편 필요…정치 양극화 해소”

입력 2023-04-13 14:13
국민일보 자료사진

국회를 출입하고 있는 기자 10명 중 9명은 선거제도 개편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정치 양극화를 해소하려면 선거제도 개편이 필요하다고 봤다.

개편 방향으로는 중대선거구제를 꼽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국회의장실은 지난 11~12일 국회 출입 기자 1150명을 대상으로 선거제도 개편안 조사를 실시해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9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 ±2.7%포인트다.

응답자 609명(응답룰 52.96%) 중 ‘선거제도 개편이 필요하다’고 답한 비율은 96.2%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선거제도 개편이 매우 필요하다’는 응답이 56.5%, ‘대체로 필요하다’는 응답이 39.7%였다.

선거제 개편이 필요한 이유로는 ‘정치 양극화 해소’가 67.5%(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국민 다양성 반영’(49.9%) ‘정책경쟁’(46.5%) ‘비례성 강화’(23.0%) ‘대표성 강화’(13.1%) 순이었다.

국회의장실은 “현 선거제도에서 야기되는 정치·이념적인 극한 대립에 대한 문제 인식이 큰 것”이라고 설명했다.

선거제도 개편 방향으로는 중대선거구제를 선호하는 비율이 60.6%로 가장 많았다.

지역구에서 국회의원 1명을 선출하는 현행 소선구제를 꼽은 비율은 30.0%에 그쳤다.

대선구제라고 답한 응답자는 9.4%였다.

대도시는 중대선거구제를 도입하고 농산어촌과 소도시는 소선거구제를 유지하는 도농복합 선거구제 도입을 찬성하는 응답은 77.3%였다.

이에 대해 국회의장실은 “도농복합 선거구제는 정치 양극화를 완화하는 효과를 보이면서도 지역소멸 대응에 효과적이라는 측면에서 선호도가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현재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개편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89.3%였다.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지난 21대 총선에서 처음 도입됐는데, ‘위성정당’이라는 부작용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응답자 80%는 종전과 같은 병립형 비례대표제로 돌아가자고 답했다.

비례대표 배분 방식으로는 전국단위(39.9%)보다 권역단위(60.1%) 방식을 선호했다.

비례대표 의원 수를 확대해야 한다는 데는 64.4%가 찬성했다.

그 방안으로는 국회의원 정수를 유지하면서 비례대표 비율을 확대하자는 응답이 55.1%, 의원정수를 늘려 비례대표 수를 확대하자는 응답이 44.9%였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