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수산물 유통관리 강화 등 안전 수산물 선제 대응

입력 2023-04-13 11:30

경남도가 올해 여름으로 예정된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오염수 방류에 대비해 수산물 유통 관리 강화 등 수산물 방사능 감시 체계 구축에 나선다.

경남도는 원전 방사능 오염수 방류로 인한 도민의 우려가 커짐에 따라 안전한 수산물 제공을 위해 지난 1월 신설된 전담조직(수산물안전담당)을 중심으로 방사능 감시에 선제 대응한다고 13일 밝혔다.

도는 직속 기관인 보건환경연구원에서 도내 유통식품·해양환경 방사능 검사를 하는 한편 지난 2021년 9월 ‘수산물안전관리센터’를 신설해 방사능 검사체계를 한층 강화했다.

또 보건환경연구원은 연안 시·군 6곳의 해수와 갯벌에 대한 방사능 분석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해양수산부와 원자력안전위원회는 해양방사성물질을 정기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이 외 도가 해양수산부와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조사정점 추가를 계속 건의한 결과 지난 1월부터 도내 해역 3곳이 확대된 8곳에서 해수, 저질, 해양생물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현재 국내 수산물의 방사능 검사는 해양수산부와 지자체에서 생산·출하단계,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지자체에서 유통 단계를 맡고 있으며 수입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전담하고 있다.

도내 생산·출하단계 수산물의 방사능 검사는 도 수산물안전관리센터에서 감마선을 방출하는 요오드(131I)와 세슘(134Cs, 137Cs)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도는 오염수 방류에 대비해 방사능 분석 장비를 1대에서 4대로 확충했으며 분석 전문인력 도 1명에서 3명으로 충원해 방사능 검사량을 대폭 확대(연300건→1000건)했다.

이와 함께 수입 수산물에 대한 유통관리를 한층 강화해 정부는 일본 후쿠시마 등 인근 8개현의 수산물 수입은 전면 금지하고 올해 1월부터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이 관리하는 수입 수산물의 유통 이력 신고 대상 품목을 기존 17종에서 21종으로 확대한다.

그리고 올해 7월부터 음식점 원산지 표시 대상 품목에 멍게, 방어, 가리비, 전복, 부세 등 5종이 추가돼 20종으로 확대되는 등 원산지 단속을 통한 수입 수산물 유통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도는 일본산 수입 수산물의 품목·시기별 유통 이력을 확인한 후 집중 단속을 할 계획으로 먼저 오는 21일까지 도내 전 시·군에서 일본산 수입 수산물의 원산지에 대한 일제 특별점검을 한다.

또 광역자치단체 최초로 출하 단계 수산물의 방사능 감시 강화를 위해 수협 위판장 10곳에 휴대용 방사능 측정 장비를 지원하며 연안 5개 시·도(경남, 부산, 울산, 전남, 제주)와 협력체계를 구축, 해양방류 공동 대응 실무협의회를 구성·운영한다.

김제홍 도 해양수산국장은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의 체계적 대응을 위해 촘촘한 방사능 감시 체계 구축과 수입 수산물 유통관리를 강화해 수산물 먹거리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또 “수산물 소비 활성화 대책과 어민 피해 대책에 이어 촘촘한 방사능 감시망 구축을 위해 해양방사성물질 조사정점을 추가하고 위·공판장 방사능 검사장비 지원을 건의해 수산물 먹거리 안전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