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주요 도시침수 스마트 대응 시스템 실증사업 선정

입력 2023-04-13 10:31
12일 오후 서울 한강홍수통제소에서 ‘디지털 트윈 기반 범정부적 도시침수 공동 대응을 위한 업무 협약’이 열렸다. 경남도 제공

경남도가 정부와 도시침수 공동 대응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침수 위험지역을 대상으로 스마트 대응 시스템 구축을 통해 도시침수 규모 사전 예측과 대응에 나선다.

경남도는 서울 한강홍수통제소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광주시, 경북도 등과 함께 ‘디지털 트윈 기반 범정부적 도시침수 공동 대응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은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한화진 환경부 장관, 최만림 경남도 행정부지사,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 문영훈 광주시 행정부시장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정부는 지난해 기록적 집중호우 및 태풍 힌남노로 대규모 침수 피해 예방을 위해 도시침수 규모를 사전 예측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 기반 도시침수 스마트 대응 시스템 실증사업’을 과기부와 환경부 협업으로 광역자치단체 공모사업으로 추진했다.

이에 경남도는 창원시와 공동 협업해 창원시 침수취약지역을 대상으로 공모사업을 신청해 선정됨에따라 내년까지 72억원(국비 57억, 지방비 15억)의 사업비를 투입해 도시침수 선제 대응에 나선다.

‘디지털트윈 기반 도시침수 스마트 대응 시스템 실증사업’은 각 지자체의 사물 인터넷(IoT)센서와 폐쇄회로(CC)TV 등 현장 계측 자료를 홍수통제와 연계해 통합 관제 및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라 지역민에게 신속히 위험 상황을 알리는 대응체계를 시범 실증한다.

도와 창원시는 태풍 발생 시기와 만조 시기가 겹쳐 해수면 고조에 따른 침수 피해가 가중되는 침수 취약 지역을 대상으로 이번 실증사업을 추진한다.

새롭게 구축하는 도시침수 스마트 대응시스템은 수위센서, 유량센서, 맨홀센서, CCTV 등과 연계해 도시침수를 사전에 예측·분석하고 신속한 주민대피 명령을 통해 피해가 최소화 되도록 관리한다.

이번 실증사업 관련 협약에 참석한 중앙부처(환경부, 과기정통부)와 3개 광역지자체(경남, 경북, 광주)는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유기적인 협력을 하기로 했다.

협약은 도시침수 대응 시스템 실증사업의 성공적 추진과 국민 안전 및 대응력 강화를 위한 소통·협력, 도시침수 대응 시스템 구축, 데이터 연계 및 공유, 도시침수 대응 지역 협력, 성과물 공유 및 연계, 도시침수 대응 연구개발, 제도개선 등이다.

최만림 도 행정부지사는 “이번 사업을 통해 도심지역 침수 피해 사전 예측과 선제 대응 시스템 구축을 창원시 뿐만 아니라 경남도 전체로 확산시켜 도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전력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도재난안전연구센터와 함께 지난해 8~10월 도내 해안침수 예상 지역을 분석한 브리프 발간과 해안침수 대비를 위해 중점 관리해야 할 해안침수 예상 지역 도출 등 침수에 따른 피해방지에 노력하고 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