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달 탐사선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의 영상이 12일 공개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이날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의 고해상도 영상을 공개했다.
한국이 달 뒷면을 직접 촬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영상에는 3월 22일 치올콥스키 크레이터(분화구) 지역, 3월 24일 슈뢰딩거 계곡 지역과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지역의 모습이 담겼다. 특히 지난달 24일은 다누리가 달 궤도를 1000회 공전한 날로, 더 특별한 의미가 있다.
이번 영상은 다누리에 탑재된 고해상도카메라(LUTI)로 촬영했다. 달 지표의 크레이터, 크레이터 내 우뚝 속은 봉우리 등의 자세한 형상까지 담아냈다. 고해상도 영상은 향후 달 지표의 구성 성분이나 크레이터 내 봉우리의 형성 과정 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달의 반대쪽 면에 위치한 치올콥스키 크레이터는 지름 180㎞ 크기의 대형 충돌구로 중간에 바닥부터 3200m 이상 솟은 봉우리가 특징이다. 러시아 과학자 콘스탄틴 치올콥스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됐다.
슈뢰딩거 계곡은 달 뒷면에 위치한 길이 320㎞, 폭 8~10㎞의 계곡으로, 슈뢰딩거 충돌구가 생길 때 함께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긴 계곡 형태의 지형은 달의 조석력 영향을 받아 여러 개로 쪼개진 작은 운석 무리가 줄지어 달에 충돌하면서 생긴다. ‘사슬형 충돌구’로도 불린다.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는 달 뒤쪽에 위치한 직경 약 23㎞의 분화구이다. 주변 테두리는 후속 충격에 의해 모양이 변형된 것으로 추정된다. 제2차 세계대전 중 핵 연쇄반응을 이론화 한 레오 실라르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됐다.
과기정통부와 한국천문연구원은 ‘광시야편광카메라’로 촬영한 영상도 공개했다. 광시야편광카메라는 달의 지표면을 이루는 흙의 입자 크기 및 조성을 알아내기 위해 개발한 탑재체이다. 달 표면 토양의 입자크기와 조성에 따라 빛의 반사가 달라지는 것을 이용해 편광영상을 담아낸다.
광시야편광카메라로 촬영한 비흐만 크레이터는 최대 직경 62㎞에 달하는 작은 원형 그릇 모양의 분화구이다. 독일 천문학자 모리츠 비흐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됐다.
이번 촬영 결과 파장, 편광 필터 종류에 따라서 밝기가 달라지는 것이 확인됐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달 표면의 입자와 조성 분포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과기부와 항우연은 다누리 홈페이지를 통해 다누리가 정상임무를 수행하며 촬영한 영상 등을 지속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이날부터는 달 궤도에 있는 다누리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된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