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 활용 청년창업 지원… 심리건강 측정 ‘연결성 척도’ 개발도

입력 2023-04-11 15:32 수정 2023-04-11 16:28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앞줄 왼쪽에서 다섯 번째)이 11일 서울 종로구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이음아트홀에서 열린 제2차 문화진흥 기본계획 및 청년문화정책 10대과제 보고회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정부가 전통문화를 활용한 청년창업 지원, 인공지능(AI)의 한국어 처리 기술을 고도화하는 말뭉치 구축 확대, 국민들의 심리 건강을 챙기기 위한 ‘사회적 연결성 척도’ 개발 등을 추진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1일 서울 종로구 이음아트홀에서 향후 5년간 문화정책의 기본 방향을 담은 ‘제2차 문화진흥 기본계획’(2023~2027)을 발표했다.

2차 기본계획에서는 전통문화에 주목한 점이 눈길을 끈다. 문체부는 전통문화 산업 진흥을 ‘오늘전통’으로 브랜딩 하고, 전통문화의 상품 상용화는 물론 관광, 교육 등 서비스 산업으로 외연이 확장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청년들이 주도하는 전통문화 창업을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2027년까지 예비창업 200팀, 창업 3년 이내 기업 100곳, 창업 3~7년 도약기 기업 30곳을 지원한다.

전통문화를 일상 속에서 누리고 수요 창출로 이어지도록 관람객 참여형 전통문화 박람회인 ‘뉴트로 페스티벌’을 열고, 전통생활문화공간인 ‘우리놀이터’도 올해 6곳을 조성한다.

한국어 관련 사업에도 힘을 싣는다.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응한 한국형 AI 언어모델 개발을 위해 ‘국어 말뭉치 구축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고품질 말뭉치를 2027년 10억 어절까지 구축한다.

세계 언어산업계에서 한국어의 자리를 확보하기 위해 통·번역 등 전통언어산업과 언어기술산업, 언어콘텐츠산업을 포괄하는 ‘언어문화산업박람회’를 올해 최초로 개최한다. 올해 상반기에는 세계 문자 자료 수집과 연구의 허브가 될 국립세계문자박물관을 개관한다.

국민의 심리 건강을 위한 정책들도 선보인다. 국민 누구나 자신이 사회적으로 연결된 정도를 측정해볼 수 있도록 ‘사회적 연결성 척도’를 새롭게 개발·보급하고, 삶의 활력을 회복하도록 돕는 ‘문화자유교실’을 내년에 시범 운영한다. 지역 문화 자원을 활용해 주민을 연결하는 ‘연결사회 지역거점’도 전국 단위로 확대 구축한다.

이밖에도 기초지자체에 문화인프라, 교육, 공연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고 권역별로 ‘대한민국 문화도시’를 지정해 집중 육성한다. 장애인 문화예술 교육과 장애예술인의 창작지원을 확대하고 장애예술인 표준공연장과 표준전시장도 조성할 계획이다. K-컬처 확산 기지가 될 재외한국문화원을 2027년 37곳으로 증설하고, 문화 관련 해외거점기관 연계를 위한 ‘코리아센터’도 확대한다.

이날 문체부는 ‘제2차 여가 활성화 기본계획’(2023~2027)과 ‘청년문화정책 10대 과제’도 함께 발표했다. ‘여가 활성화 기본 계획’에는 ‘문화가 있는 날’ 참여 프로그램을 올해 전국 2300개로 확대, 여가권 보장을 위해 관계부처 등과 협의해 대체공휴일 지정 확대 등이 포함됐다.

‘청년문화정책 10대 과제’는 문체부 2030자문단인 ‘MZ드리머스’가 선정했다. 생애 첫 지원 확대, 불안정한 노동환경 개선 등이 포함됐다.

김남중 선임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