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와 관련해 일본의 호응이 필요하다고 윤덕민 주일 한국대사가 다시 한번 강조했다.
도쿄신문은 윤 대사가 인터뷰에서 한국 정부의 징용 배상 해결책과 관련해 “또 한 걸음 내딛는 자세를 일본 측이 보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고 7일 보도했다.
그러면서 “피해자가 바라는 것은 돈이 아니라 진심을 담은 치유”라면서 “일본에는 ‘물에 흘려버린다’는 문화가 있지만 한국에는 (그런 문화가) 없다”고 말했다.
‘한 번 사과한 일을 다시 사과하지 않는다’는 일본의 말을 한국 문화에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라는 취지다.
그는 아울러 “한국 국민이 (일본의 대응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지 생각해 주기 바란다”면서 한국이 발표한 해결책에 일본이 좀 더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일본 피고 기업을 대신해 징용 피해자들에게 판결금을 지급할 한국 정부 산하 재단에 일본 기업이 기부하길 바란다는 의사도 내비쳤다.
윤 대사는 “자유민주주의라는 가치관을 공유하는 한국과 일본이 역사 문제로 대립하는 것은 좋지 않다”면서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응하려면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전략적 관계’를 조성해 미국의 조 바이든 행정부와 함께 한미일 안보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경제 안보 분야에서 한·일 협력이 중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윤 대사는 “반도체 분야에서 한국은 완성품, 일본은 장비와 소재에서 각각 강해 양국이 보완 관계에 있다”면서 "첨단기술의 유지, 관리에서 협력한다면 거대 시장을 가진 중국에서도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징용 문제 해결로 수출에 관한 조치가 원상 복구되면 비즈니스에 좋은 환경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서지윤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