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 광운대 특임교수가 ‘막말 논란’이 불거진 자신의 발언에 대해 사과했다. 앞서 진 교수가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비판하면서 “70세 된 분들 얼마 있으면 돌아가신다. 언제까지 외국인 노동자하고 70세 분들 먹여 살리는데 돈을 헛써야 하는가”라고 발언하자, 이정미 정의당 대표가 공개 비판했다.
진 교수는 6일 저녁 페이스북에 사과문을 게시했다.
진 교수는 “문제의 발언을 맥락에서 떼어놓고 봤을 때 매우 과격하게 들리는 게 사실”이라며 “그것이 듣는 이들에게 오해를 낳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점 인정한다. 제한된 토론 시간 내에 주장을 압축하다 보니 문장을 제대로 만들지 못한 것”이라고 자신의 실수를 인정했다.
이어 “이정미 대표님의 비판에 공감하며, 제 발언에 상처받으신 분들께 사과드린다. 아울러 앞으로는 이런 실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깊이 주의하겠다”고 밝혔다.
또 “언젠가 저는 ‘정치인이라면 자신의 발언이 맥락에서 떨어져 인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늘 인식해야 한다’고 지적해 왔다. 남에게 적용한 원칙은 자신에게도 적용되어야 한다”며 “비록 정치인은 아니지만 대중매체를 통해 정치적 발언을 하는 저 자신에게도 이 원칙은 당연히 적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진 교수는 자신의 발언 취지도 다시 설명했다. 그는 “문제의 발언은 ‘농촌은 70대 노인과 외국인 노동자들로 유지가 되는 데에 다른 작목으로의 전환이 쉽겠냐’는 발언을 반박하는 가운데 나온 것”이라며 “발언의 취지는 민주당에서 ‘식량안보’를 얘기하는데 70대와 외국인 노동자들의 결합으로 행해지는 농업이 과연 지속가능하냐는 것이다. 제한된 예산을 지속 가능하지 않은 상황의 단순한 유지에 쓰는 것보다는 젊은이들이 뛰어들 수 있는 산업이 되도록 농업의 근본적 전환을 하는 데에 쓰는 게 더 합리적이지 않느냐는 뜻이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쌀의 소비량은 앞으로도 줄어들 테니 경작면적을 줄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데, 이번 개정안은 우리가 가야 할 방향에 외려 역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 혈세로 쌀을 사들여 그저 썩히는 게 얼마나 합리적인지 모르겠다”며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한 양곡관리법 개정안에 대한 비판은 그대로 유지했다.
진 교수의 발언이 알려지자 이정미 정의당 대표도 페이스북을 통해 비판했다.
이 대표는 “진 교수의 발언은 쌀농사로 생계를 잇고 있는 농민, 그리고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폄훼로 들린다는 점에서 유감”이라며 “충분한 해명이 필요해 보인다”고 비판했다.
이 대표는 “진 교수는 정의당의 당원이다. 사적인 영역에서 당의 정책에 대해 이견을 표할 수 있다. 당연히 이번 양곡관리법에 대해서도 다른 의견을 가질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지금 생존의 벼랑 끝에 내몰려 있는 농민들에게 깊은 상처를 남기는 언행은 다른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진 교수는 평당원이지만 사회적 발언력이 크신 분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정의당의 농업에 대한 진의가 왜곡될 수 있다”고 비판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