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민생 현안들에 대해 이틀간 연이어 하루에 두 차례씩 정부와 머리를 맞대며 ‘민심 잡기’ 행보에 나섰다.
당 지도부의 잇단 설화에 따른 여론 악화와 당 지지율 하락세 등 악재를 민생행보로 정면돌파하겠다는 의도다.
국민의힘은 6일 오전 국회에서 전기·가스 요금 관련 민·당·정 간담회를 열고, 한국전력공사와 한국가스공사로부터 누적적자 개선을 위한 자구책을 보고 받았다.
한전과 가스공사는 2026년까지 각각 14조원, 총 28조원 규모의 비용을 절감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간담회 직후 브리핑에서 “국민들이 ‘그만하면 됐다’고 할 때까지 뼈를 깎는 노력 선행돼야 한단 점을 다시 강조했다”고 말했다.
또 정부는 요금 인상에 따른 취약계층 지원 확대, 에너지캐시백 제도 활성화 등 국민 부담 경감 방안도 보고했다.
앞서 국민의힘과 정부는 전기요금과 가스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는 인식을 같이 했지만, 한전과 가스공사의 자구책 마련과 국민 부담, 물가상승 압박 등을 고려해 인상을 잠정 보류한 바 있다.
국민의힘은 이날 양곡관리법 재의요구 후속대책 관련 민·당·정 간담회도 개최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4일 양곡관리법 개정안에 대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했다.
국민의힘은 초과생산된 쌀을 정부가 의무 매입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날 간담회에서 ‘쌀 수급안정, 직불제 확대 및 농업·농촌 발전방안’을 확정해 보고했다.
쌀을 의무적으로 수매하기 보다는 수급 균형을 유도해 쌀값을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국민의힘은 이날 쌀 소비 확대를 위해 ‘1000원 아침밥’ 사업을 대폭 확대하고, 쌀 가공산업 육성 계획을 마련할 것을 정부에 주문했다.
앞서 국민의힘은 5일에도 ‘소아·응급·비대면 진료’, ‘학교폭력 근절’ 당·정 협의회를 개최하고 정부와 관련 대책 마련을 위한 논의를 했다.
박성영 기자 ps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