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올해 바다로 방류하기로 한 후쿠시마 제1원전 내 오염수 처리 과정에 대해 “일본 당국의 방류 감시체계는 신뢰할 만하다”는 평가를 내놨다.
IAEA는 5일(현지시간) 후쿠시마 제1원전 내 오염수의 처리 과정을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들이 현장 조사를 벌인 내용을 토대로 작성된 4차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는 IAEA 전문가들이 지난해 11월 일본을 찾아 오염수 처리 및 방류 과정을 조사한 내용에 따른 것이다.
전문가들이 추가 현장 조사한 내용이나 현지에서 채취한 해양수 샘플에 대한 조사 결과 등은 5·6차 보고서로 나올 예정이고, 그 이후에 최종 보고서가 작성된다. 4차 보고서는 도쿄전력 등 일본 당국이 해양수 방류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체계를 검증·평가하는 데 상당 부분을 할애했다.
보고서는 “일본 측이 IAEA의 요구에 따라 보완한 정보를 바탕으로 도쿄전력이 오염수 방류 후 환경에 대한 영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세워둔 프로그램이 신뢰할 수 있으며 지속가능한 방사선 보호 체계를 갖추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IAEA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모니터링 계획을 보완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는 평가도 내렸다. 이런 계획에 대해서는 기술적으로 더 검토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도 실렸다.
다만 오염수 방류에 따른 영향을 다루는 방사선환경경영향평가(REIA)와 관련해서는 방사성 물질 농도 측정 등에 사용하는 방법론 등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보충 설명을 요구한 사안 가운데에는 방류 후의 방사성 물질의 영향을 따져보는 계획 가운데 해안 3㎞ 근해에서 잡힌 물고기 섭취량을 제외한 데 대한 더 개선된 설명이 요구된다는 대목이 있다.
생물체 내 유기 결합 삼중수소(OBT)의 형성 과정의 불확실성에 대해 명확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했고, 환경영향 시뮬레이션 영역의 경계에 있는 해수에서 요오드(I-129), 탄소(C-14) 등 잔류 핵종의 농도 추정치 등도 요구했다.
보고서는 “(이 같은 보충 설명 요구가) 도쿄전력이 IAEA의 국제 안전 표준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가리는 데 영향을 줄 것이 아니며 전문가들이 도쿄전력이 세운 계획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측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오염된 물을 원전 부지 내 수백여 탱크에 보관하고 있다. 이 물은 다핵종제거설비(ALPS) 등으로 대부분의 방사성 핵종을 제거한 상태라는 게 도쿄전력 측 설명이다. 일본 측이 보관 중인 물을 오염수가 아닌 ‘처리수’라고 부르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정화 과정을 거쳐도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트리튬)가 남는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의 삼중수소 농도를 자국 규제 기준의 40분의 1인 1리터당 1500베크렐(㏃) 미만으로 희석해 올해부터 방류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대책단’은 6일 오염수 방출 문제와 관련해 일본을 방문한다. 대책단 소속 위성곤·양이원영·윤영덕·윤재갑 의원이 이날부터 2박 3일간의 일정을 소화한다.
이들은 이날 도쿄에서 시민사회 및 원전 안전 전문가 그룹과 면담한 뒤 도쿄전력 본사를 찾아 원전 오염 관련 자료 등 의원단의 요청서를 전달할 계획이다. 7일에는 후쿠시마 원전 일대 등 오염 현장을 살피고, 후쿠시마 지방의원·원전 노동자·피난민과 면담한다. 후쿠시마 공동 진료소도 찾을 예정이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