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기술만을 전담 심사하는 조직인 ‘반도체심사추진단’이 새롭게 출범한다.
특허청은 반도체심사추진단 신설을 골자로 하는 특허청 직제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해 11일자로 시행된다고 4일 밝혔다.
추진단 신설에 따라 기존 5개국이었던 특허심사국은 추진단을 포함해 총 6개국으로 확대 개편된다. 추진단은 전기통신심사국 소속 3개과를 이관받고 3개팀을 신설한다.
인력은 전기통신심사국·화학생명심사국·기계금속심사국 소속 136명을 재배치하고 신규 전문심사관 30명을 더해 총 167명으로 구성된다.
각 과별로 기존 심사관과 신규 인력을 적정 비율로 배치하는 만큼 ‘3인 협의심사’ 등의 협업이 가능할 전망이다.
특허청은 이와 함께 국단위 기구의 명칭도 변경하기로 했다.
인공지능(AI)·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지능형로봇, 자율주행 등 최첨단 기술을 다루는 융복합기술심사국은 ‘디지털융합심사국’으로 이름을 바꾼다.
정보고객지원국은 방대한 산업재산권 정보·데이터를 관리하는 기구의 특성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산업재산정보국’으로 변경한다.
추진단이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면 제조·조립공정 및 소재, 장비 등 반도체 관련 전 분야에 대한 심사가 가능해지며 첨단 기술의 특허망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이인실 특허청장은 “반도체 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한 조직·인력개편 작업이 일단락됐다”며 “우리 반도체 기업들이 핵심 기술을 제대로 보호받도록 조직 및 인력운영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