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료 낮추고·면적 넓힌 ‘역세권청년주택’…서울시, 공급 확대 나서

입력 2023-04-04 16:01
서울 용산구 한강로2가 역세권 청년주택 ‘용산 베르디움 프렌즈아파트’

서울시가 역세권청년주택 사업을 청년안심주택으로 개편하고 민간임대 임대료를 시세의 75~85% 수준으로 낮춘다. 또한 역세권뿐 아니라 간선도로변까지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총 12만호의 청년안심주택을 시내 곳곳에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4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2017년 시작된 역세권청년주택 사업은 지하철역 350m 이내 주변 시세보다 임대료를 낮게 책정한 임대주택을 청년층에게 공급해 온 정책이다. 현재까지 서울 시내에 착공 및 사업 승인 물량을 포함해 총 4만5000호가 공급된 상태다.

시는 우선 입주자 주거비 부담을 낮추기 위해 임대료를 현재 주변 시세의 85~95%에서 75~85%로 낮춘다. 이와 함께 입주자 모집 1년 전 주변 시세를 조사해 이를 공표하고 입주예정자 의견 수렴 등을 통해 임대료를 결정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관리비도 부설주차장 운영 등을 통해 인하할 예정이다. 시는 최소 세대당 1만2000원 정도 관리비 절감 효과를 볼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시는 청년안심주택 공급을 더욱 확대하기 위해 대상지를 기존 도시철도역 주변 역세권에서 간선·광역버스 이용이 편리한 간선도로변 50m 내외까지 확장한다. 역세권 범위는 기존 ‘350m 이내’에서 ‘250m 이내’로 조정해 역과 인접한 지역의 집중 개발을 유도한다.

시는 간선도로변이 공공·편의시설 등 기반시설이 충분히 갖춰져 있는 데다 용적률은 낮고 노후 건축물이 많아 청년주택 공급 여건과 개발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시는 간선도로 중심으로 청년주택이 공급되면 간선도로망이 탄탄한 동북권과 서남권 위주로 개발이 이뤄져 균형발전 효과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1인 가구 최소 주거면적을 기존 전용 20㎡에서 23㎡로 넓히고, 빌트인 가구·벽지·장판 등 마감재도 최신 주거트렌드에 맞는 자재를 반영할 예정이다. 한 실장은 “공급 물량 비해 청년 수요는 많아 사업 대상지를 넓혔다”라며 “버스 접근이 쉬운 곳 위주로 선정했다. 청년들이 환승 등을 이용하면 수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